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부른데 살 빠지는 ‘진짜’ 다이어트약 개발
2015.01.06
받으면 소화를 돕기 위해 담즙을 분비하고 혈당을 조절하며 지방을 연소하는 과정에
관여
한다. 이런 기능 때문에 이전부터 여러 제약회사에서는 다이어트 약을 만들 목적으로 담즙 수용체를 자극하는 약을 개발하려 했지만 소화기관 외에도 다양한 장기에서 영향을 끼치고 부작용을 일으켜 ... ...
DNA 도움 없이 단백질이 직접 아미노산 만들어
2015.01.04
Rqc2라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라닌(Alanine)과 트레오닌(Threonin)을 만드는 데
관여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의 핵심 역할은 불량 아미노산이 발생했을 경우 눈에 띄기 쉽도록 ‘표지’를 붙이는 것. DNA의 유전정보가 전령RNA(mRNA)를 거쳐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에 전달되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했다. 예를 들어 새의 지저귐에
관여
하는 영역이 사람에서는 기술습득과 습관화에
관여
하는 피질-기저핵시스템이라는 식이다. 한편 정신과 임상의로서 특히 여성의 정서에 미치는 호르몬의 영향을 주목해 이를 치료에 반영했다고 한다. 두페는 결혼이 늦었는지 나이 오십이 돼서야 쌍둥이 아들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팀은 식물의 생장호르몬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때
관여
하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결합방식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신은 식물의 뿌리와 줄기를 자라게 하고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식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호르몬이다.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 ...
피부세포로 정자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만드는 데
관여
하지 않았던 유전자로 폐나 장, 이자로 발달하는 내배엽을 만드는 데만
관여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적절한 환경에서 배아줄기세포가 시원생식세포로 분화하는 데는 5~6일이 걸렸다. 시원생식세포가 만들어지는 조건을 알아낸 연구팀은 배아줄기세포 대신 성인 피부세포를 ... ...
심근세포 운명 좌지우지하는, 너는 누구냐
2014.12.25
자극이 강하면 ICER 신호전달경로가 활성화되면서 Bcl-2라는, 세포생존 촉진에
관여
하는 단백질 발현이 줄어들면서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 교수는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을 융합해 심근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기작을 규명했다”면서 “이를 통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주제에 심취한 에델만은 연구의 지평을 넓혀 다세포생물에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여
하는 ‘세포유착분자(cell adhesion molecule, CAM)’를 발견했다. 그 뒤 뇌과학 분야로 진출한 에델만은 신경계가 면역계와 비슷하게 작동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1977년 ‘신경다윈주의(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
2014.12.15
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실제 사람의 보행을 분석한 데이터를 이용해 보행에 핵심적으로
관여
하는 근육 100여 개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들 근육으로 걷기, 뛰기 등 다양한 보행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성공했다. 각 근육의 특성 값을 조절하면 근육이 이탈된 경우나 통증으로 불편한 경우를 재현할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수도 있다는 경영의 비유가 실제 우리 몸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말이다. 역시 면역계가
관여
된 현상으로 포유류인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이므로 사람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적응면역계의 일꾼인 T세포와 B세포는 각각 흉선(thymus)과 골수(bone-marrow)에서 배출된다(T와 B는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연구결과 ‘시스톤메틸화효소’라는 물질이 배아줄기세포전사인자의 형태를 바꾸는 데
관여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형태가 바뀐 전사인자는 세포 안에서 성장을 조절하는 물질의 생성을 방해해 줄기세포 성장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것이다. 연구진이 밝혀낸 줄기세포 성잘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