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뉴스
"
대신
"(으)로 총 4,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변속 단백질 AI로 분석해 전립선암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신호 패턴을 분석해 암인지 아닌지를 진단하도록 했다. 하나의 지표를 측정하는
대신
4개 지표의 농도에 따라 암이 발생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립선암 측정 기술의 설명도다. 전립선암에서 4가지 암인자가 특정 농도로 나오면 인공지능이 이를 분석해 전립선 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백신, mRNA 의약품 시대를 열다
2020.12.23
한편 mRNA를 병원체에 대한 백신으로 개발하는 연구도 진행됐다. 바이러스를 통째로 쓰는
대신
게놈에서 항원이 되는 부분만 골라 mRNA를 만들어 백신으로 쓰니 얼마나 깔끔한가. 만일 mRNA 독감 백신을 만든다면 지금처럼 바이러스를 증식하느라 어마어마한 양의 달걀을 낭비하는 일도 없을 것이다. ... ...
더 다양한 코로나19 백신이 온다…'네이처'가 주목한 2021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만드는 DNA를 실어 나른다.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해 체내에 넣는 방법
대신
mRNA를 이용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전달하고, 그러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여기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 원리를 이용한다. mRNA를 이용한 백신은 인류의 백신 개발 ... ...
[의학게시판]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간호사 교육 수료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사이에 장이 있거나 자궁근종이 골반 깊이 위치한 경우 사용이 힘들다. 김 교수팀은 복부
대신
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산부인과 생식의학회지’에 발표됐다 ... ...
"변수 많은 코로나19, 수리모델로 예측하기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통한 확산 예측에 변수가 너무 많아졌다는 것이다. 라오 소장은 기존 감염병 수리모델
대신
‘기하평균’ 모델을 이용해 예측의 범위를 줄이는 방식을 제안했다. 기하평균은 여러 개의 수를 연속으로 곱해 그 개수의 거듭제곱근으로 나눈 수다. 인구성장률이나 경제성장률 등 변동이 큰 성장률의 ... ...
전문가들 화이자·모더나 백신 부작용 원인으로 PEG 성분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유형인 면역 글로불린E(IgE)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며 “
대신
또다른 두가지 항체인 면역글로불린M(IgM)과 면역글로불린G(IgG)를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체베니 박사는 수십년 동안 돼지 모델을 통해 면역과 항체를 연구한 면역학자다. 그는 1999년 종종 PEG가 ... ...
[팩트체크]영국 '변종' 바이러스
대신
'변이체'가 정확한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영국 코로나19 게노믹스UK 컨소시엄(COG-UK)은 올해 4월부터 지금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바이러스 게놈 약 14만 개를 해독해 매주 업데이트한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COG-UK 홈페이지 캡처 영국에서 출현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영국을 넘어 유럽 전역으로 ... ...
레벨4 자율주행차 유상운송 서비스, 내년 서울 상암에서 선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데이터 수집과 정보처리를 빠르게 했고, 주변에 레이저를 쏴 물체를 인식하는 라이다
대신
카메라와 레이더를 이용해 주변을 촬영하고 인식하는 ‘센서 퓨전’으로 상황을 인식하고 제어한다. 센서 퓨전의 유지·보수 비용은 라이다의 10분의 1 수준이다. 포티투닷은 앞서 화성시에 위치한 ... ...
[인간 행동의 진화]개는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되었나
2020.12.20
육식을 하던 늑대는, 이제 아무거나 잘 먹는 개가 되었다. 신석기가 시작되면서 고기
대신
빵이나 밥도 먹어야 했다. 아밀라아제 유전자가 늘어났다. 바닷가에 사는 개는 조개도 먹고 생선도 먹는다. 심지어 과일도 먹는다. 인간이 먹을 수 있으면, 대개는 개도 먹을 수 있다(물론 예외도 있다. 개에게 ... ...
[잠깐과학]광부를 구한 생명의 지저귐 탄광의 카나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12.19
무려 1986년 12월 30일까지 쓰이다 이듬해부터 전자 센서로 바뀌었습니다. 인간을
대신
해 가엾은 카나리아가 희생되는 일도 줄어들었습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환경 오염 실태를 조사하거나 위험한 임무를 진행할 때 종종 감시종 동물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2월 1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