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화
대화
야그
얘기
대담
회화
스토리
스페셜
"
이야기
"(으)로 총 1,59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않았다). 저자인 영국의 물리학자 프랭크 클로우즈는 ‘퉁구스카 사건(Tunguska event)’으로
이야기
를 풀어나가는데, 언론매체에서 이번 유성체 폭발을 말할 때 ‘1908년 이래 가장 큰 폭발’이라고 표현하는 그 1908년 폭발이 바로 퉁구스카 사건이다. 지난 2008년 6월 30일 퉁구스카 사건 100주년을 맞아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계가 진핵생물역으로 통합된 것이다. 게다가 논문에 실린 계통수는 더 충격적인 사실을
이야기
한다. 즉 진화의 역사에서 봤을 때 고세균은 세균보다 진핵생물에 더 가깝다는 것. 따라서 굳이 2분법으로 첫째 고개 질문을 만든다면 “세균인가? 아니면 고세균/진핵생물인가?”가 돼야 한다는 말이다.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 여름에 북극 얼음이 많이 녹으면 그해 겨울이 추워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많이
이야기
됐기 때문에 일단 여기서는 건너뛰기로 하자. 아무튼 여름에 북극 얼음이 지나치게 녹아 북반구 겨울철 혹한을 만든다는 것이 다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는 사실은 이제 인정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25.10.14 ~ 2012. 6. 7) 인종차별에 반대한 고인류학자 “내가 하루에 세 시간만 잔다는
이야기
는 사실이 아닙니다. 네다섯 시간이라면 몰라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세계적인 고인류학자인 필립 토비아스(Phillip Tobias)는 1300편이 넘는 책과 논문을 발표한 경이로운 인물이다. 평생 결혼도 하지 않고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날 대학원 시절 선배였던 브리언 케네디를 만나 옛 추억을 회상하다가 SIR2 실험에 대해
이야기
를 나누게 된다. 이들은 문득 둘 다 당시 실험 결과에 대해 내심 찜찜해 하고 있었다는 걸 발견했다. 그리고 SIR2가 수명에 관한 모든 걸 설명해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사실 효모 균주에 따라 ... ...
의공학 미래, 의사와 공학자의 소통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15
앉아 허심탄회하게 자신의 연구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의사가 의료현장에서 느낀 불편함을
이야기
하면 공학자가 해법을 제시하고, 공학자가 개발한 기술에 대해 의사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의견을 내놓는 식이다. 이처럼 의사와 공학자 간의 끈끈한 협력 관계 속에 지금껏 생각하지 못했던 혁신적인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영구동토처럼 조건이 좋을 경우 게놈해독 가능성의 한계는 100만 년 전 정도라고 한다.
이야기
를 전개하기 앞서 말의 진화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약 5500만 년 전 하이라코테리움(Hyracotherium)이라는 고양이만한 동물이 살았는데 오늘날 말과 맥, 코뿔소의 공동조상이라고 한다. 그 뒤 여러 생물종이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12.25
추연성 LG생명과학 전문. 새 정부에 대한 이들의 기대는 ‘바이오 기술(BT) 전담 부처’로
이야기
로 이어졌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2011년에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을 이끌어 냈다. 그러나 생명과학분야 전체를 아우르기엔 다소 권한과 책임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특강했다. NEBS 제공“암에 걸린 환자에게 의사들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먼저
이야기
합니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삶의 질’이에요. 암 정복은 아직 어려울지 몰라도 ‘약을 먹음으로써’ 암 때문에 무너진 삶의 질을 회복시키는 건 곧 가능해질 겁니다.” ‘한국인 중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한국의 임상연구 상황 등을 지적하며 한국이 어떤 전략을 펴야 하는지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
했다. 특히 신약개발 부문에서 기존 선진국과 차별화된 방법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아시아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퍼졌다. 국제 공동연구의 현실과 한인 과학자들의 네트워크 활용 등 다양한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