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리
이유
사연
사유
도리
이론
시장가치
d라이브러리
"
논리
"(으)로 총 1,71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로미오」-수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있었고, '자연수와 정수의 갯수가 같음을 증명하라'할 때는 연필만 돌릴수밖에 없었다. 비
논리
적으로 뒤죽박죽 엉켜버린 내 머릿속을 정돈하는데 1년반은 족히 들었다고 생각한다.그래도 지금은 제법 흉내는 내는지 '여자가 그렇게 매사를 재고 따지면 팔자가 세진다'는 남학생들의 핀잔을 듣기도 ... ...
50만원 PC, 언제 출현할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맞추어 8만대 정도로 늘어났다. '값싸고 좋은 PC가 나오면 국내수요는 그만큼 증거한다'는
논리
를 보기좋게 증명한 셈이 됐다. 올해부터 중학교를 필두로 초·중등학교 컴퓨터교육이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PC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올해 국내PC수요가 지난해보다 ... ...
병렬처리 컴퓨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병렬성이 많고 적음이 나타난다고 믿고 있는데 현재 대표적인 언어 분야는 다음과 같다.
논리
언어 분야인'프롤로그'(prolog)라는 언어가 있는데, 이 언어는 수학적으로도 상당수준 정리가 되어 있고 기존의 데이타베이스, 운영체제및 문제해결 방식 등에 다 적용이 될 것으로 믿어져 유럽에서 개발된 ... ...
마인드 컨트롤인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말한다.왼쪽 뇌를 주로 쓰는 사람들은 대개가 변호사 문필가 경리 세무사 법관 의사 등
논리
적이고 언어와 연관된 정보를 처리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다. 반면 오른쪽 뇌를 많이 쓰는 사람들은 음악가 건축가 무용가 시인 기업가 정치인 사업가 임이 밝혀졌다. 또 직업을 불문하고 가장 성공을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15~1897)였다. 당시만 해도 연속함수는 언제든지 미분이 가능하다고 믿고 있었다.이 함수는
논리
적으로는 옳지만, 실제의 자연현상에는 적용될 수 없는 병적인 이론이라고 여겨졌다. 예로 1925년에 두사람의 물리학자가 쓴 논문에 "바람의 입자에는 속도가 없다. 마치 웨이어스트라스의 함수처럼 말이다 ... ...
제2의 석기시대를 예상하며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과학적 이론의 습득과 그 심화 뿐만이 아니라 그 이론에 맞게, 근거에 맞게 자신의
논리
를 바탕으로 실용성을 실현시켜야 하는 사명이 있는 것이다.●- 물리 화학이 특히 중요하다공학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분야중에 하나는 재료 분야이다. 그러나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많은 난제가 숨어있는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도형이 있다는 것은 3차원세계 사람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된다. 그러나 이는
논리
과정상 당연한 것이다. 표면에 직방체가 생겨4차원의 초표면(3차원의 직방체)을 좀 더 찾기 쉬운 방법을 소개한다.(그림7)에서는 w축으로의 이동이 주어진 3차원 직방체의 내부로 향하게끔 그려져 있다 ... ...
시작도 끝도 없다-플라즈마 우주론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빅 뱅이 있었다면 반드시 팽창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팽창이 있으면 빅 뱅이 있다는
논리
는 성립되지 않는다. 모든 개가 동물이라고 해서 모든 동물이 개는 아닌 것이다.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하는 사람이 놓인 특정한 관점이나 상황 때문인데, 이런 것들은 하나의 공식으로, 즉
논리
적이고 수학적인 식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지기 무척 어려운 것들이 아닌가 한다. 관점이란 늘 다수의 입장을 전제하는 것이고 상황이란 것은 늘 일회적인 것이기 때문이다.이런 문제를 끌어들여 ... ...
침과 뜸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오히려 그 말이 생소하게 느껴진다. 왜냐하면 한방의학 이론상으로는 나름대로의
논리
가 엄연히 서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문제는 아직까지도 경락의 실체를 해부학적으로 입증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 경락의 실체에 대하여 세계각국의 학자들이 저마다의 방법으로 계속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