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적혈구의 숫자도 늘어나서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산소가 부족할 것에 대비해
뇌
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은 증가하고 근육으로 가는 혈류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 단계를 지나면 ‘느린 순응’을 거친다. 낮은 기압에 몸이 완전히 적응해 건강을 되찾는 단계다. 8000m 가량의 높은 고도에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에 의해활성화된다. 빛은 향기와 달리 통제하기가 쉽다. 이 쥐를 이용하면 빛을 이용해
뇌
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0월 17일자에 실렸다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
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아이구, 내 정신 좀 봐. 지갑을 어디다 뒀는지 통 생각이 안 나네~?아, 잘 좀 생각해 봐요. 시간 없다니까요.기다려 봐. 늙으면 다 이렇지 뭐~.얼른 나가야 하니 빨리 찾 ... 먼 옛날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는 인체에서 가장 알기 어려운 기관인
뇌
의 비밀을 꿰뚫고 있을지도 모른다.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선생님은 평소 폭넓게 책을 읽고 탐색하기를 권했다. “의사도 여러 방향이 있어.
뇌
과학을 연구해서 공학과 융합하거나 CSI에 나오는 법의학자가 될 수도 있어. 네 꿈을 어떻게 구체화시켜 하나씩 실현해 갈지는 네 몫이란다.”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바이오포럼 활동을 기반으로 지역 생태보호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반응한다. 어떤 쓴맛 수용체가 반응하든지 세포는 입안에 쓴 물질이 들어 있다는 정보를
뇌
로 보내면 임무 끝이다.연구자들은 각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될 때 만들어지는 전령RNA(mRNA)의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DNA 단일가닥을 탐침으로 써서 위의 가설을 검증했다. 예를 들어 미뢰의 한 세포에 T2R1 ... ...
쪽지시험 보면 더 잘 외워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많은 학생들을 공포에 떨게 하는 일명 ‘쪽지시험’이 외국어 단어를 외우는 데 실제로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미국 켄트주립대 심리학과 캐서린 ... 효과를 내는 것이다. 로손 교수는 “쪽지시험이 효율적인 힌트를 찾도록 돕기 때문에
뇌
가 더 잘 기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문제를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는 “
뇌
신경에 문제가 생겼거나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작용할 때 단기간에 치료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약물치료”라고 밝혔다. 실제로 우울증 환자가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2주 안에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재난과 질병 vs. 은폐와 거짓탈은 ‘덧보기’라고도 불린다. 본래의 얼굴에 덧씌우는 다른 얼굴이라는 뜻이다. 한자어로는 한국과 일본은 ‘가면(假 ... 사람들은 대체로 장수한다. 또 탈놀이를 하면 신명풀이를 하여 정신건강과 정서함양에 좋다.
뇌
(腦)과학에서도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 ...
“비타민B가 치매 막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뇌
는 매년 1% 정도씩 수축한다. 알츠하이머 치매를 겪는 환자는 이보다 5배 빨리 수축한다.
뇌
가 줄어드는 속도는 혈액 속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호모시스테인’이 많을수록 빠르다.혈중 호모시스테인이 많으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 비타민B는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양을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반복적으로 떠오르면서 자극적으로 발달한다.전문가들은 트라우마의 생리적 원인으로 “
뇌
에서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 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돼 혈압과 심장박동수가 증가된 상태로 지속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래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흥분하고, 사건이 일어나던 장면이 생생하게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