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영구 자석이론은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프랑스의 물리학자
마리
퀴리에 의해 폐기된다. 19세기 후반에 퀴리는 강한 자성을 지닌 금속물질이 일정한 온도(800℃) 이상에 다다르면 자성을 잃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퀴리 온도’라고 부르는데 지구 내부의 핵은 그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가축 분뇨를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를 생산할 수도 있습니다. 돌 하나로 새 두
마리
를 잡는 격이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에서 가축 분뇨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 있는 조승희 박사의 말이다. 여기서는 가축 배설물이 더 이상 ‘똥’이 아니다. 친환경에너지로 다시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라온 호의 추진력은 일반 선박보다 4~5배 강하다. 말 6800
마리
가 끄는 힘과 맞먹는다. 남 실장은 “아라온 호는 일반 선박과 달리 발전기를 이용한 전기모터로 추진력을 얻는다”고 설명했다.바다에서 연구하기 위해서는 소음과 진동이 적고 변속이 부드러운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장균이 있는 물에서는 물놀이를 하면 안 된다. 정수장에서는 물 100mL속에 대장균 3000
마리
라는 기준을 만족시킨 물만 바깥으로 내보낼 수 있다.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하는 대장균보다 눈에 바로 보이는 생물로 수질을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깊은 산 계곡에서 조심스레 바위 밑을 들췄더니 가재가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집에서 함께 살고 있는데, 그들은 식구가 많아 언제나 득실득실 붐빈다. 약 10조~100조
마리
가 있으며 400여 가문이라고 하니 대단하다. 산소를 싫어하는 세균이 가장 많고 발효균인 효모도 있다.장내세균은 주로 윗방(대장 윗부분)에서 산다. 거기에 맛있는 탄수화물이 많아서다. 그들은 탄수화물을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 연구센터 앤 그레이비엘 박사팀은 짧은꼬리원숭이두
마리
를 가만히 멈춰 있다가 움직이라는 신호가 있을 때만 자유롭게 행동하도록 훈련했다.그레이비엘 박사팀은 원숭이에게 출발 신호를 준 뒤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원숭이가 움직일 때 뇌의 전전두엽과 ... ...
역대 이그노벨상 수학상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표면적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해 수학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다 자란 코끼리 24
마리
를 대상으로 신체 부위와 표면적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어깨 높이와 앞발 발굽의 둘레만 알면 몸 전체의 표면적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일반적인 사장교보다 설계하기 어렵고 건설비용도 증가한다”고 말했다. 목포대교는 한
마리
학이 날개를 펼치고 날아오르는 모습을 닮았다.주탑 모양도 변하고 있다. 대우건설이 시공을 맡은 부산~거제 간 연결 교량인 거가대교는 주탑을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바꿨다. 기존에는 H자 형태의 주탑이 ... ...
누에와 함께한 특별한 추억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없는 추억이다. 우리는 매년 봄이면 농촌진흥청 산하에 있는 잠종연구소에서 누에 수천
마리
를 가져와 하루 종일 체액을 채취하곤 했다. 이때는 본인의 연구주제가 누에와 관련이 없다 하더라도 전 연구원이 함께 협동해 일손을 도왔다. 이는 자신의 연구뿐 아니라, 동료 및 선후배의 연구에도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물질 6가지를 쥐의 피하지방에 주입했다. 그 결과 GRPR이 파괴된 쥐 10
마리
가운데 8
마리
는 가려움을 일으키는 물질을 주입해도 몸을 긁지 않았다. 반면 GRPR이 파괴된 쥐들은 통증이 약하더라도 반응했다. 첸 교수는 “GRPR을 가진 척수신경세포는 가려움만 뇌에 전달하는 특이 신경세포”라며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