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처럼 꾸준하고 쉼없이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세계를 정복한다는 야릇한 희열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대학원에 처음 들어왔을 때도
마찬가지
였다.필자는 저수지를 어떻게 이용해야 기후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지 계산하고 대안을 찾는 연구를 했다. 연구실에서는 저수지 말고도 다양한 유역을 연구했다. 쉽지 않은 연구였지만 도전할 만한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경우가 생긴다. 이런 모서리 큐브가 12개 있으므로, 경우의 수는 212이다. 귀퉁이 큐브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38이다. 여기에 실제로 풀리는 큐브가 되도록 안 되는 경우를 나눠 준다. *모서리 큐브의 경우 50%만, 귀퉁이 큐브는 33.3%만 가능하다. 따라서 1/2×1/3로 나눈다.지금까지 구한 경우는 모두 동시에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항원을 모르니 예방백신을 만들 수가 없다. 다른 암도
마찬가지
다. 예방백신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과 자궁경부암 백신이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은 암 예방백신은 아니다. 하지만 간염을 막아 간암까지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간암 원인의 70%가 B형 간염이다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청소년 사이의 폭력이나 왕따는 우리나라 문제만이 아니다. 그 정도가 심해지는 경향도
마찬가지
다.그러다보니 선진국에서는 청소년의 머릿속을 이해해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으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청소년 뇌 발달 연구로 가장 유명한 건 미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서 1991년부터 시작한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의 손을 들어줬다. 학교 성적을 중시하는 것은 KAIST나 포스텍도
마찬가지
다. 이들 대학은 과학고 출신처럼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내신 3등급 이하의 수험생이 합격한 사례가 거의 없을 정도로 고교 내신을 중요하게 본다. 연세대 진리자유전형, 고려대 학교장 추천전형 모두 ... ...
수와 식, 겁내지 말고 쪼개 봐!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커다란 것을 분해해 작게 만들었다가, 필요에 의해 다시 합체할 수 있거든요.수학 공부도
마찬가지
예요. 여러 개가 복합된 문제는 거대하고 무시무시해 보이지만, 차근차근 쪼개어 생각하면 별거 아니랍니다! 새 학기부터는 더욱 용기 내어 수학을 정복해 보세요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현재보다 더 높은 꿈을 꿀 수 있는 활동을 하게 도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이 학생들도
마찬가지
였습니다. 첫 번째 연구활동은 결과가 왜 그렇게 나오는지에 대한 실험은 못한 상태로 결론을 냈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추가 실험을 하게 했습니다. 추가 실험 중에는 학교에서 할 수 없는 내용도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매만지고 포즈를 취하는 모습에서 졸업을 앞둔 학생들의 설레임이 느껴졌다. 현종 군도
마찬가지
였다. 인터뷰 장소로 온 현종 군은 동아리 친구들과 사진을 찍고 왔다며 활짝 웃었다. 2012학년도 KAIST 학교장 추천 전형에 최종합격한 학생이니 분명 과학이나 교과와 관련된 동아리일 것이라 생각하고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놓으면 다리가 다시 길게 늘어난다. 문어가 앞으로 갈 때 다리를 늘였다 줄이는 것과
마찬가지
다. 또 강철 줄을 이리저리 흔들면 실리콘 다리가 따라 움직인다. 문어가 몸을 닦고 피부를 빗질할 때 다리를 이리저리 흔드는 것과 같은 행동이다. 결과만 놓고 보면 ‘그걸 누가 못해’ 하는 말이 나올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초고출력레이저’를 개발한 곳으로 더 유명하다. 초고출력레이저도 다른 레이저와
마찬가지
로 빛을 증폭시켜 만든다. 하지만 사진기 플래시 같이 강한 빛을 내는 펄스 레이저는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빛이 모이면 레이저 발생장치 자체가 손상을 입는다. 이를 막기 위해 펄스의 길이를 길게 늘려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