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천체투영관에서 보는 가상현실(VR) 영상도 만들고 있어요. 밤하늘을 VR로 담으려면 360°를 모두 찍어야 하는데, 최적의 카메라 구성을 위해 수학을 활용합니다. 카메라 한 대당 볼 수 있는 각도가 가로로 100° 정도라면, 여러 사진을 이어붙이기 위해서는 사진마다 겹치는 부분이 20%는 있어야 해요. ... ...
-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제4회 온라인 폴리매스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지금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온라인 폴리매스데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두 엿볼 수 있다고. 만약 폴리매스 회원들과 함께 수학을 즐기고 싶다면 제5회 온라인 폴리매스데이에 참여하거나 직접 운영진이 돼보는 것도 좋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4화. 사라진 말캉 다이아몬드, 범인은 바로 삐뚤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전까지도 정신을 못 차리던 자신을 떠올렸습니다. 용의자 다섯 명에 대한 심문이 끝났고 모두가 범인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경찰대장은 난감한 표정을 지었습니다. “범인이 이 중에 없다니…. 어쩔 수 없이 관광객 전체를 조사해야 하나….”한숨을 쉬며 몰려든 사람들을 둘러보던 경찰이 문득 ... ...
- [기획] 어린이는 왜 백신을 못 맞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접종 후 자가진단 필수!지금까지 임상 3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화이자와 모더나는 모두 통상적인 부작용을 발견했어요. 우리 몸은 백신과 같은 외부 물질이 들어오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그 과정에서 주사 부위 통증과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증상은 보통 2~3시간 내에 사라지지요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식물이 많다고 답했다. 같은 종이어도 생장하는 방식, 잎사귀 무늬를 생성하는 방식 등이 모두 다르니 그 과정을 직접 보고 식물의 번식에 참여하는 게 새롭고 재밌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식물인 괴근식물에 관심이 많아요. 잎에 물을 머금고 있어 물을 주지 않아도 사는 식물이에요. 또 ...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스타트업이다. 숲에 나무를 심는 게 주 업무다. 숲과 나무, 모두 내 것은 아니다. 숲은 모두의 것이고 나무는 고객의 것이다.자연에 매료됐던 어린 시절의 꿈을 이뤘지만, 여기까지 오는 길이 순탄치는 않았다. 어린 시절, 숲보다 나를 매료시킨 대상이 또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우주였다. ... ...
- [수학체험실] 5가지 그림을 찾아라! 거울 퍼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반사 광선과 법선이 이루는 각을 ‘반사각’이라고 한다. 입사 광선과 반사 광선, 법선은 모두 한 평면에 있고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다. 이것을 ‘반사의 법칙’이라고 한다. 거울에 빛을 반사하면 반사의 법칙에 따라 빛이 들어가는 각과 반사되는 각이 같으므로 거울 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 ...
- [특집] STAGE 1 투표 쇼핑몰. 여러분이 원하는 투표 방법을 고르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정말 똑똑한 방법이지 않습니까? 그냥 화끈하게 1대1로 붙읍시다! 주민 여러분 모두 ‘밸런스 게임’ 해봤죠? 둘 중에 뭐가 더 좋은지 고르는 겁니다. 그 어떤 후보와 맞붙어도 이기는 자가 최종적으로 승리하는 겁니다. 이런 걸 ‘양자 대결’이라고 한답니다. 프랑스 귀족이었던 마리 장 앙투안 ... ...
- [과학법정]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미국이 우주 산업에 경쟁적으로 뛰어들던 당시 우주가 군사 기술에 활용될 것이 두려운 모두가 우주를 평화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서둘러 합의했다”고 했어요. 그러다 1969년 달에서 채취된 토양이 소개되며 우주 자원을 두고 논의가 시작됐어요. 1979년 달 조약에선 달 자원을 소유할 수 없도록 ... ...
- [시사과학] 동물 학대 논란, 수족관 고래 타기 체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독자들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질문에 장수진 연구원, 조약골 공동대표는 모두 “돌고래쇼를 보거나 체험에 참여하지 않는 것, 방문하지 않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했지요. 이어 “바다 생물의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토론해 보고,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도 좋다”고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