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알파파와 바이오피드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되었고 그 결과 더 높은 알파수준을 제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아울러 이렇게 증가된 알파
밀도
는 유쾌하고 이완된 느낌을 주었다고 주장했다.이러한 견해는 그후 여러 학자들의 연구결과로 뒷받침되었다. 이들이 연구한 피험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알파상태'(alpha state)라고 부르는데 그 결과는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했었다. 즉 우주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감에 따라 은하가 하나씩 없어지면 높은
밀도
와 온도를 피할 수 있다는 줄거리를 갖는 우주론이다. 따라서 시간이 제 방향으로 흐른다면 이 우주론에서는 은하가 하나씩 생겨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우주론을 '연속 창생'(Continuous Creation)우주론이라고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천체물리학 세계의 '괴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상을 초월하는 높은 온도와
밀도
를 가질 수밖에 없는 태초에 허수 시간에 의하여 무경계 우주가 자연스럽게 저절로 태어났다는 주장이다. 굳이 일상 용어로 표현한다면 "신은 별로 필요가 없다"라는 말이 이에 상응되리라 생각한다.1990년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높은 곳이 현재의 나팔선이 되며
밀도
가 아주 낮은 곳은 팔과 팔사이의 공간이 된다. 이
밀도
파 이론은 나선팔의 형성을 설명하는데 많은 공감을 얻고있는 학설이다.무정형은하(Irr)는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으며 축에 대해서도 대칭이 이루워지지 않는 은하이다. 무정형은하는 색지수의 값이 가장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별을 보는 사람에게는 가장 좋은 사냥터이다. 성운 성단을 정리한 메시에 목록의 대상물
밀도
는 찻주전자의 북쪽에서 하늘의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높게 나타난다. 가스의 거대한 구름인 흩어진 성운과 산개 성단들, 그리고 매우 멀리 있는 구상성단들의 전체적인 흐름은 찻주전자의 주둥이에서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밀도
를 재면 구할 수 있다. 불행히도 현재의 관측값은 임계
밀도
의 10분의 1에서 임계
밀도
의 두배 사이라는 구간에 있다. 따라서 우주는 닫혀있을 수도 열려 있을 수도 있다(그림5). 이제까지는 우주의 전체적인 구조(즉 유한과 무한의 문제)나 현재라는 시각에서 볼 수 있는 전 우주의 시공간의 단면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경우 화상 하나마다 1메가바이트(메가란 1백만배를 의미한다) 정도로 개인용 컴퓨터의 고
밀도
디스켓 1장의 용량에 해당된다.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에 사용되는 CCD도 근본적으로 같은 것이지만, 천문학용으로 쓰이는 CCD는 그 성능이 우수한 점 이외에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통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및 적외선 관측과 이론연구에 따르면 분자구름이 내부 혹은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아
밀도
가 높은 덩어리들이 생기고 그 덩어리들이 중력에 의해 수축을 하게 되어 어느 순간에는 핵융합 반응이 가능한 온도에 도달함으로써 별이 탄생된다고 한다. 별이 최근에 탄생한 대표적인 예로는 우리에게 잘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모형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Xn을 정수값을 취하는 시간 n에서의 세포의 숫자, 혹은
밀도
라고 하면 본뜨기는 시간에 따른 X값의 변화, 즉 변수 X의 운동을 결정한다. 가령 A=2일 때 X의 초기값을 ${X}_{0}$=0.7로 주면 본뜨기를 반복함으로써 ${X}_{1}$=0.42, X₂=0.4872,…와 같이 일련의 X값을 얻을 수 있다.이를 ...
(2) 인종에 맞는 제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비해 각화세포(角化細胞, keratinocyte)의 수가 많아 각질층이 두껍다. 아울러 각화세포의
밀도
도 높아 외부자극에 대해 상대적으로 둔감한 편이다. 그런데 각질층의 두께는 햇빛의 반복조사에 의해 두꺼워지기도 한다.털의 형태 크기 단면의 모양 길이 등도 인종 및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난다.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