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 코골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힌 오토 브렌들리 스위스 취리히대병원 박사팀이 평화상을, 엄마의 질 내부로 넣어 태아에게 음악을 들려주는 기계인 ‘베이비팟’을 개발한 스페인 연구팀은 산과학(obstetrics)상을 수상했다. 커피 안 쏟으려면? 뒤로 걸어!올해 이그노벨상 유체역학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광철KAIST에서 물리학 학사, 포스텍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키블 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kclee@kriss.re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 있는 과학적인 원리가 밝혀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잘 휘어지는 전극이다. 이윤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이동화 박사과정 연구원과 함께 차세대 전극 개발 방식을 독창적으로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쉽게 녹스는 구리나노선, 그래핀으로 감싸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는 반도체를 이용해 전기로 빛을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연구원은 그 방법이 15가지뿐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라오 박사는 4가지 조건 아래 볼록 오각형이 평면 위에서 빈틈없이 맞닿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했습니다. 4가지 조건은 모든 내각의 합은 540°일 것, 내각은 모두 테셀레이션 무늬를 이룰 것,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안전한 가운데로 도망가는 겁니다. 해밀턴의 이론은 2012년 앤드류 킹 영국 왕립 수의대 박사팀이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십 마리 양떼가 모여 있는 곳에 개를 풀어 양 떼와 개의 움직임을 기록했지요. 매 순간 양들의 위치를 기록했는데, 양떼는 무리의 중심으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1만 3509개, 2004년에는 2만 4978개까지 늘렸습니다. 2006년 데이비드 애플게이트 AT&T연구소 박사가 이끄는 팀은 8만 5899개 도시에 대한 최적 경로를 계산하는 데 성공했지요. 최소 비용 찾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하지만 이 방법은 n개 도시를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의 모든 경우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데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로봇 대결을 새로운 스포츠 장르로 만드는 것이지요. 메가보츠의 로봇 공학자 존 굴코 박사는 “이글 프라임은 12톤의 무게에 430마력★의 힘을 낼 수 있는 거대로봇으로 자동차를 들어 올리거나 부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마력★1초 동안 75kg의 물체를 1m 움직일 수 있는 일의 크기. 2015년 6월 3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따온 만큼 세레스의 지명도 전 세계 농업의 신들 가운데 고르기로 방침을 정했다. 슈뢰더 박사는 “세레스에 있는 수천 개의 크레이터 중에서 ‘볼더’라는 둥근 암석이 특이하게 분포된 크레이터에 자청비를 제안했다”며 “평소 한국의 풍부한 문화와 오랜 역사에 관심이 많아 문헌을 뒤져 한국에 ... ...
- [과학뉴스] 35억 년 전 달에 두꺼운 대기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브라 니담, 데이비드 크링 미국항공우주국(NASA) 달및행성연구소 박사팀은 30억~40억년 전 달의 화산 폭발로 인해 분출된 가스의 양을 계산했다. 그 결과 가스가 우주로 휘발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달 표면으로 분출되면서 일시적으로 달 주변에 대기가 형성된 것으로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