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핵연료봉을 제거해 냉각수조에 보관한다.09 질산을 이용한 용매추출법으로 플루토늄을
분리
·정제한다.10 추출된 농축 플루토늄(Pu-239)은 핵무기에 사용할 수 있다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DBD 표면의 주입구에 혈액을 넣으면 드라이브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
하고 이 혈청이 DBD 속의 진단키트와 반응해 질병을 진단한다.유 교수는 “일반 CD처럼 DBD 드라이브를 켜면 40분 안에 검진이 완료되고 분석 결과가 나온다”며 “이 장치를 병원과 연결해 진단 결과는 바로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기름오염물을 분해하는 특수한 미생물이 오염물을 토양에서
분리
시킨다. 이어서 땅 속에 커다란 전극을 꽂으면 오염물이 전기장 안에서 이동한다. 이렇게 모인 오염물을 다시 미생물을 이용해 처리하면 오염물을 분해하는 한편 토양 세척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때문에 평면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해 홀로그램은 빛을 물체파와 기준파의 두 경로로
분리
한다. 물체에 반사돼 나온 물체파와 물체에 닿지 않은 기준파가 만나면 서로 중첩돼 수많은 선으로 이뤄진 간섭무늬가 생긴다. 바로 이 무늬가 필름에 기록된다. 간섭무늬에는 빛의 밝기뿐 아니라 물체 각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주는 대표적 환경이다.곽 박사는 고구마에서 SWPA2라는 항산화효소 유전자 프로모터를
분리
해 개발했다. 이 프로모터는 평소에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다가 대상 식물이 산화스트레스를 받으면 그때부터 가동되기 시작한다.항산화 효소인 CuZnSOD와 APX 유전자를 엽록체에 동시에 발현시켜 ... ...
흑백 착시현상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있는 것처럼 파악됐다.앤더슨 박사는 “우리 뇌가 눈에 들어온 시각 정보를 여러 요소로
분리
해내다가 착시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물체를 비추는 빛의 양인 조명, 물체 표면에서 반사하는 빛의 양 인 반사율, 물체와 우리 눈 사이에 놓여 있는 매개물의 투명도 등이 이런 요소다. 연구팀은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남택정 교수팀은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해조류에서 폴리만뉴론산이라는 성분을
분리
했다. 연구팀은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콜레스테롤이 들어있는 먹이만을, 다른 한 그룹에는 콜레스테롤과 폴리만뉴론산을 함께 첨가한 먹이를 4주 동안 줬다. 그리고 쥐의 혈액에서 지방세포가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노화 조절 물질 ‘다우몬’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해 구조까지 규명했다. 백 교수와 함께 연세대 화학과 정만길 교수, 연세프로테옴연구센터 정판영 연구원 등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2월 3일자에 주요 논문으로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안을 촬영하면서 환부를 살핀다. 다른 곳으로는 수술기구를 넣어 환부를 절개하거나
분리
한 뒤 소작하고, 꿰매는 작업을 한다. 이렇게 담낭 절제 수술은 손쉽게 끝난다. 과거 수술법에 비해 내시경 수술법은 통증이 거의 없으며 2~3일 안에 퇴원이 가능하다.그러나 여전히 불편한 점은 남아있다. 보통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분리
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연구팀은 귀리도 함께 이용했다. 귀리에서는 피토크롬을
분리
하기가 비교적 쉽고 피토크롬의 성질이 애기장대와 비슷하기 때문이다.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경우에는 피토크롬 대신 로돕신이라는 광수용체가 빛을 받아들인다. 로돕신의 생리활성 역시 인산화 상태에 따라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