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두 개의 광원을 각각 좌우 지느러미에 비췄다(위 그림 참조). 빛을 빠르게 깜박거리면 지느러미의 펄럭임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양쪽 지느러미의속도가 다르면 로봇의 방향을 돌릴 수 있었다. 최고속도는 1초당 3.2mm 였다.과거에도 동물세포로 로봇을 움직이려는 시도는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폐병원으로 바뀌었다. 손전등(과 유사한 물체)을 들자 정말 손전등이 향하는 방향으로 빛이 생겼다. 조심스레 발을 옮기는데 왼쪽에서 “끼긱”하는 소리가 들렸다. 누워있던 좀비가 관절을 꺾는 소리였다. 너무 놀란 기자는 뛰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등 뒤쪽에서 진동이 느껴졌다. ‘설마’하는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륙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눈이 녹지 않고 쌓여 빙하가 형성되고, 빙하가 다시 태양 빛을 반사해 남극대륙의 온도를 추가로 떨어뜨리는 ‘양의 되먹임(positive-feedback)’ 효과가 발생했을 것이다. 오늘날 남극의 혹독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지리적 조건들을 고려해야하는 이유다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뜬 노란 태양은 약 5800K, 가장 밝은 푸른 별인 시리우스는 약 1만K다. 아주 뜨거운 푸른빛의 색온도는 2만 5000K이나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PART 1. 파랑은 없다?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PART 2. 파랑을 만드는 ... ...
- [과학뉴스] DNA가 빛나는 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위치에 정확히 놓는 기술이 부족해 상용화되지 못했다.연구팀은 DNA를 660nm 파장의 붉은 빛만 반사하는 특정 구조로 접고, 20nm 이하의 오차로 정확하게 배치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진행한 폴 로드먼드 교수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작은 컴퓨터 회로를 만드는 데 이 기술이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7월 8일 논문 초고 등록 사이트 ‘아카이브’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빛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두 위성이 지름이 마이크로미터(μm․100만 분의 1m) 이하인 미세한 입자로 구성됐다고 추론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두 위성이 화성의 마그마로부터 생긴 것이 아니라, 화성에서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은하가 관측된다. 초록색 은하는 차갑게 식어 빨간 빛을 내는 별들과 매우 뜨거워서 파란 빛을 내는 별들이 적절하게 섞여 있는 은하라고 볼 수 있다. 즉, 빨간 은하가 파란색으로 전환되거나 파란 은하가 빨간색으로 전환되는 중간 과정의 은하다(물론 초록색을 꾸준히 유지하며 진화한 은하일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주었고, 냉난방 장치와 채광 장치를 해서 박이 자라는 데 가장 적합한 완벽한 온도와 빛을 맞춰 주었다.그러나 씨앗 하나에서 박을 키운다는 것이 단번에 쉽게 되지는 않았다. 게다가 역시 고층 벽면에서 박을 재배하는 환경 자체의 한계도 있었다. 커다란 박이 주렁주렁 그림 같이 많이 열리게 할 ... ...
- 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다양한 모양의 모래언덕을 만든다.]세상에 이런 사막도 있다!사막이라고 하면 온통 누런빛의 모래 산으로 뒤덮인 모습이 먼저 떠오를 거예요. 하지만 지구상에 있는 전체 사막 중에서 모래사막은 10분의 1밖에 되지 않아요. 사막 중에 가장 큰 사하라사막도 모래사막은 전체의 5분의 1 정도지요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세포에서 진주 빛을 내는 입자들이 칼륨이온(K+) 농도에 따라 배열이 달라지면서 파란빛을 내는 원리다. 고다 교수팀은 K+농도에 따라 색이 바뀌는 현상을 수학 모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활용해 종이에 인쇄할 수 있는 홀로그램 잉크를 만들고 있다.이외에도 과학자들은 몰포나비 날개의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