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4,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의자 X의 수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23개 문제 중 18개가 해결됐다.이후 수학 난제를 발표하는 일이 종종 있었는데 가장
유명
한 것은 ‘클레이 새천년 문제(Clay Millenium problem)’일 것이다. 2000년 5월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는 각각 100만 달러가 걸린 7가지 수학 난제를 파리에서 공표한다. 공모기간은 무제한이다.전자암호를 열쇠 없이 풀 ...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갖고 휠체어를 개발한 교수가 있어요. 바로 아모스 윈터 MIT 교수입니다.과동이> 네? 그
유명
한 MIT요? MIT에서 첨단 휠체어가 아닌 개발도상국 사람들을 위한 휠체어 연구도 한다고요?쌤> 놀랄 것 없어요. 첨단 휠체어만큼이나 적정기술을 이용한 휠체어도 우리에겐 필요하니까요. 이런 것을 소외된 90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증언 역시 확률적으로 보면 증거라고 할 수 없습니다.맡은 사건을 모두 승리로 이끌기로
유명
한 변호사 ‘무고한’은 검사측이 제출한 유전자 검사 결과와 발자국 증거, 그리고 이웃 주민의 증언을 반박하는 확률적인 계산을 제시했다.무고한 변호사는 우선 검사의 오류에서 지적한 것처럼 유전자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20세기 수학의 흐름을 바꾼 힐베르트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문턱인 1900년, 제2회 세계수학자대회가 파리에서 열렸다.힐베르트는 여기에서 그
유명
한 ‘세기의 문제’ 강연을 하게 된다. 강연에서는 선정한 문제의 반 정도를 소개했지만, 추가 문제를 포함해 총 23개의 미해결 난제를 선정해 출간했다. 이 중에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수학자들을 괴롭히는 ... ...
[W5 코드 브레이커] 카이사르의 죽음을 예견한 치환 암호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암호는 원하는 사람만 알 수 있도록 약속을 정해서 만든 신호나 부호를 말합니다. 기록에 따르면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인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했다고 해요. ... 브루투스의 칼에 찔려 죽음을 맞게 된다. 그는 죽어가며 “브루투스 너마저….”라는
유명
한 말을 남겼다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뱀으로 무한과 차원, 우주를 표현하다뱀으로 무한한 우주를 표현할 수도 있을까?
유명
한 네덜란드의 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는 뱀으로 다양한 수학을 표현했다.먼저 에셔의 생애 마지막 작품인 부터 살펴보자. 세 마리의 뱀이 여러 개의 원 고리 사이에 엉켜 있어, 마치 하나의 매듭을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많이 모여 있어야 그 지방 막 기포가 다른 지방 막 기포를 누르고 생존할 수 있다.
유명
한 말대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유전물질이 생명체가 되기 위해 시도한 최초의 행위가 협력과 경쟁이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초협력자’의 저자인 마틴 노왁 옥스퍼드대 교수는 2006년 사이언스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때 은하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있었다.암흑물질 필요없다암흑물질 가설이 워낙
유명
하다 보니 우리는 당연히 암흑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그러나 정말 암흑물질이 있을까. 이런 의문에서 등장한 것이 수정뉴턴역학이다.수정뉴턴역학은 암흑물질 없이 뉴턴역학에 위배되는 천체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소벨의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유명
한 과학사의 한 장면을 드라마처럼 묘사하기로
유명
한 작가지만, 이번에 택한 장면은 그 중 정점이다. 지동설을 주장한 과학혁명의 아이콘 코페르니쿠스다. 감히 과학계에서 가장 극적이고 중요한 장면을 이야기로 엮다니! 하지만 ‘코페르니쿠스의 연구실’을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널리 쓰이는 자오선이 됐다. 결국 1884년 25개국 대표단이 미국 워싱턴에 모여 당시 가장
유명
했던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결정했다. 우리나라는 이런 합의 과정에 끼어들지도 못한 채 지금 자연스럽게 이 기준을 따르고 있다. 물론 저항이나 반발이 없었을 리는 없다. 영국의 앙숙이었던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