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4,334건 검색되었습니다.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선으로 이루어진 그림도 그래프라고 하지. 사실 그래프 이론이라고 하면, 스위스의
유명
한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발견한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를 떠올릴 거야. 프레겔 강에 있는 7개의 다리를 한 번만 건너서 처음 시작한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지 묻는 문제로, 그래프 이론의 시초거든.이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증언 역시 확률적으로 보면 증거라고 할 수 없습니다.맡은 사건을 모두 승리로 이끌기로
유명
한 변호사 ‘무고한’은 검사측이 제출한 유전자 검사 결과와 발자국 증거, 그리고 이웃 주민의 증언을 반박하는 확률적인 계산을 제시했다.무고한 변호사는 우선 검사의 오류에서 지적한 것처럼 유전자 ... ...
수학클리닉의 영상은 우리가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하나고 방송부는 최고의 장비와 시설이 갖춰져 있는 것으로
유명
하다. 대부분의 촬영 장비와 조명이 실제 방송국에서 쓰는 전문가용으로 이뤄져 있다. 이런 장비 중 많은 부분을 SBS 방송국에서 기증했다. 덕분에 하나고 방송부 학생들은 교내 방송부에서 좀처럼 누리기 ... ...
[포토뉴스] 블랙홀의 비밀에 다가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그는 노트에 자기만의 독특한 직관으로 생각해 낸 다양한 정리를 적어 놓은 것으로
유명
하다. 하지만 생략된 증명 과정 때문에 수학자들도 그의 노트를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지난 12월 22일 그의 탄생 125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미국 에모리대 수학과 켄 오노 박사가 라마누잔이 남긴 정리 중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않을 것 같다.브로드웨이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는 영국 소설가 루이 스티븐슨의
유명
한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이상한 사건’을 각색했다. 악의 화신 하이드는 또다른 사람이 아니라 약물 복용으로 다른 사람이 된 지킬 자신이다.근본이 변하지 않았는데 전혀 다른 사람이 되는 일이 ... ...
안드로메다와 아스트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은하는 우리은하 밖의 천체라고 규명했죠. 특히 우리은하와 매우 유사한 은하계로도
유명
하죠.신화 속 안드로메다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예뻐서였을까요. 안드로메다 은하가 빛이 200만년 이상 날아가야 할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였을까요.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때 은하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있었다.암흑물질 필요없다암흑물질 가설이 워낙
유명
하다 보니 우리는 당연히 암흑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그러나 정말 암흑물질이 있을까. 이런 의문에서 등장한 것이 수정뉴턴역학이다.수정뉴턴역학은 암흑물질 없이 뉴턴역학에 위배되는 천체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널리 쓰이는 자오선이 됐다. 결국 1884년 25개국 대표단이 미국 워싱턴에 모여 당시 가장
유명
했던 그리니치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결정했다. 우리나라는 이런 합의 과정에 끼어들지도 못한 채 지금 자연스럽게 이 기준을 따르고 있다. 물론 저항이나 반발이 없었을 리는 없다. 영국의 앙숙이었던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소벨의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유명
한 과학사의 한 장면을 드라마처럼 묘사하기로
유명
한 작가지만, 이번에 택한 장면은 그 중 정점이다. 지동설을 주장한 과학혁명의 아이콘 코페르니쿠스다. 감히 과학계에서 가장 극적이고 중요한 장면을 이야기로 엮다니! 하지만 ‘코페르니쿠스의 연구실’을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나무를 찾았다. 울릉도만 7번을 다녀올 정도라고 했다. 기록에는 초기 3년 동안의 공사와
유명
전문가의 설계만 남아 있다. 시설과장의 이름은 담당 공무원으로나 기록돼 있을까. 하지만 정말 정원이 좋아 모으고 가꾼 결과 화학연의 정원은 오늘날의 풍성함을 자랑할 수 있게 됐다.교육이나 국가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