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d라이브러리
"
탄생
"(으)로 총 3,90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아인슈타인 박사는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이 활발한 미래에 도착했다. 인류는 이미 태양계를 떠나 새로운 행성에 살고 있었다. 아인슈 ...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들어온 것으로 위안을 삼으려고 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오케스트라의
탄생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5악장 -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다려 봐야겠네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오케스트라의
탄생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5악장 - ... ...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재료로 탈바꿈한다. 결정의 구조를 그야말로 ‘타일을 붙이듯’ 만들면 새 소재가
탄생
한다. 어떻게 붙이느냐에 따라 획기적인 소재를 얻을 수도 있다. 반대로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해 새로운 구조를 디자인할 수도 있다. 준결정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금속의 조성이나 제조공정을 바꿔 합금을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를 통해 성감대를 포함한 여성 뇌감각지도(일명 ‘감각 호문쿨루스’)가 처음
탄생
했다. 이 분야를 꾸준히 연구하고 있는 한 뇌과학자의 집념의 결과이기도 하다.여성을 대상으로 한 첫 ‘뇌감각지도’‘점잖은’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배리 코미사룩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마음의 아이들’과, 나노 수준의 분자 구조물을 이용해 스스로 복제하는 기계가
탄생
하는 미래를 그린 에릭 드렉슬러의 ‘창조의 엔진’이다. 80년대 중후반에 발표된 두 책은 지금 봐도 섬뜩할 정도로 설득력 있고, 시대를 앞선 영감과 혜안으로 가득하다.‘마음의 아이들’은 인공지능의 출현과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정말 빛보다 빠른 입자가 발견됐을까. 한국, 일본, 이탈리아 등 11개국 국제 공동연구팀이 9월 23일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를 발견했다고 ...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퍼지기에 가장 적합한 매운 분자의 결정 크기와 농도를 끊임없이 실험했다. 그 결과
탄생
한 ‘고추냉이 경보기’는 자고 있던 사람을 1~2분 안에 깨울 수 있다.이외에도 연구팀은 썩은 양배추(메틸메르캅탄)나 썩은 달걀(황화수소)에서 나는 냄새 분자도 훌륭한 경보기 재료가 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애플Ⅱ는 가전제품처럼 플라스틱을 써 가정의 책상과 침실에 친숙한 제품으로
탄생
할 수 있었다. 애플Ⅱ의 성공 이후 컴퓨터 업계에서 플라스틱 케이스는 표준이 됐다.실패를 극복한 사례로는 리사와 매킨토시도 있다. 애플은 그래픽 기반의 운영체제를 쓴 리사를 먼저 발매했다. 하지만 리사는 999 ... ...
통합과학 - 태양계 행성 지구의 진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구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태양으로부터 온 것이다. 태양의 에너지원이 무엇인지 문제를 통해 알아보고 수권과 기권, 지권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지금의 대기 조성과 생명체가
탄생
한 과정을 살펴본다.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