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66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분자 검출하는 나노안테나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이 미세 공간상의
빛
을 5만 배 이상의 세기를 가지며 극한으로 모인다. 강하게 모이는
빛
을 바탕으로 단분자 수준을 검출할 수 있는 초고민감도 바이오센서를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안테나는 현재 반도체 및 파운드리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단일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통해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고와 버고 국제협력단은 지난해 5월 21일 지구에서
빛
의 속도로 약 160억 년 가야 하는 먼 거리에서 발생한 중력파 신호를 검출했다. 연구팀은 계산을 통해 지금부터 70억 년 전에 발생한 두 블랙홀의 충돌 및 병합 현상에 의해 발생한 중력파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인간·공감·AI] ⑥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잡아" 신개념 코로나19 바이러스 탐지 센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LED)
빛
을 팔뚝에 쏜다.
빛
은 피부를 통과해 혈관까지 닿는다. 송 교수는 “이
빛
이 피부를 통과하며 반사되는 양을 측정해 산소 포화도를 측정한다”며 “심박수와 호흡수, 체온 등도 같이 측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블루투스를 적용할 경우 보다 먼 거리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 센서 개발은 ... ...
뉴턴의 실험 노트 온라인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글귀가 나온다. 뉴턴은 안구를 찌그러트리는 실험을 하면서 다른 위치를 누를 때마다
빛
이 다양한 색깔로 보인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이러한 뉴턴의 연구 자료를 집에서도 볼 수 있게 됐다. 영국 BBC와 더선은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이 아이작 뉴턴이 케임브리지대 학부생일 때 썼던 공책을 ... ...
"안드로메다 은하 둘러싼 가스 우리 은하와 이미 충돌 중"
연합뉴스
l
2020.09.01
광년 떨어져 있지만 별처럼 밝게
빛
나는 활동성 은하의 핵으로, 이곳에서 나온 자외선
빛
이 헤일로를 통과할 때 흡수되는 것을 분석해 헤일로의 물질을 파악하고 지도를 만들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퀘이사는 총 43개로 다른 은하의 헤일로를 분석할 때 활용된 1~2개보다 훨씬 더 자세한 결과를 ... ...
ETRI, 30도 시야각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학회 최고상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용해 공간에 영상을 맺히게 한다. 공간광변조기(SLM) 패널에 홀로그램 데이터를 입력해
빛
을 제어하면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 수 있다. SLM의 픽셀 피치가 작을수록 홀로그램을 볼 수 있는 시야각이 넓어진다. 기존 3㎛ 픽셀은 10도 이내 시야각이 나오는데 연구팀은 이를 1㎛로 줄여 시야각을 30도로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를 통해 IGZO층의 전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굴절률이 감소하고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빛
의 공명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IGZO 기반 가변형 컬러필터 기술 모식도 및 마이크로 컬러픽셀 실험 결과. 포스텍 제공. 연구팀이 고안한 컬러필터 설계 방식을 활용하면 대면적 ... ...
서울대병원 암세포 잡는 최고 수준 중입자가속기 도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암 치료용 중입자 가속기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중입자 가속기는 탄소를
빛
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 빔을 암세포에 조사하는 치료기기다. 높은 종양 살상능력으로 기존에 치료할 수 없었던 난치성 암의 치료가 가능하다. 정상세포를 최대한 보호하는 동시에 암세포에만 대부분의 ... ...
125살 맞은 X선, 지금도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현상을 발견했다. 뢴트겐은 수학에서 모르는 수를 X라 표현하듯이 정체불명의 이
빛
에 X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X선 관련 논문을 발표했고, 1901년 이 논문으로 제1회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뢴트겐은 X선이 전 인류의 재산이라 생각해 특허 출원을 하지 않았다. X선은 ... ...
[주말N수학] 예술가가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20.08.29
관객의 동작을 인식해 그 움직임에 맞춰
빛
이 왜곡되도록 만들었다. 파장을 표현한
빛
이 자연스럽게 왜곡될 수 있도록 양 작가는 ‘펄린 노이즈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펄린 노이즈 알고리즘은 1980년대 켄 펄린 미국 뉴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형이나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넘치게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