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뉴스
"
액체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형 배터리 전기흐름 원리 찾았다
2015.04.15
김 교수는 “이 원리를 이용하면 낮은 전압에서 높은 전류량을 얻을 수 있으며
액체
의존도가 낮아져 전압이 한결 안정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배터리나 전기를 소모하는 담수화 장치 등의 전기적 효율을 크게 향상 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꽃가루 제일 많은 시간,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 야외활동 삼가야’
동아닷컴
l
2015.04.14
3월부터 급증해 4월이 연중 가장 많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몸에 들어간 꽃가루가 침 등
액체
분비물에 녹아 알레르기 물질이 체내로 흡수돼 발생해 콧물이나 재채기 같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증상부터 비염이나 심하면 천식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꽃가루는 특히 주로 새벽 시간에 ... ...
화성에 얼음 말고 소금물도 있다
2015.04.14
교수는 “과염소산염은 화성 전역에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도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있더라도 미생물이 살기에는 온도가 너무 낮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 13일자에 게재됐다. 밤에 응결된 수증기가 서리처럼 화성 ... ...
‘치맥 했구나?’ 식단 감시하는 목걸이 탄생
과학동아
l
2015.04.13
분석해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알아맞춘다. 정확도는 80~90%로 높은 편이다. 특히 고체와
액체
는 87%, 뜨거운 음료와 상온의 음료를 90%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용자가 하루 목표 섭취량을 초과했거나 밤늦게 음식을 먹었을 때 알람이 울리는 ‘잔소리’ 프로그램도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실렸다. 벌레잡이풀의 잎은 길쭉한 주머니모양으로 그 안에 소화효소가 잔뜩 들어있는
액체
가 담겨 있다. 개미 같은 벌레가 향기나 화밀에 이끌려 잎 가장자리에 얼쩡거리다 미끄러져 떨어지면 몸이 녹아나고 식물은 영양분을 흡수한다. 그런데 이 논문이 발표되기 전까지 사람들은 벌레가 잎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지하 7km 깊이까지 시추공을 뚫어 지하를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라면서 “1300도가 넘는
액체
상태의 마그마를 직접 꺼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院士)는 “한국은 아시아 전역에 대한 지질학적인 이해가 매우 높고 첨단 탐사 장비도 보유하고 있어 탐사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molecular gastronomy)의 예들도 여럿 소개하고 있다. 천연 식재료에서 다양한 젤화제를 찾아
액체
식재료를 젤로 만든 막 안에 가두는 요리들이 탄생했고 화학실험실에서 진공을 걸어 용매를 날려 시료를 농축하는 기구인 진공회전농축기(rotovap)를 써서 기존의 요리과정에서는 잃어버릴 수밖에 없는 ... ...
그래핀 넣은 플라스틱 제조 레시피 나왔다
2015.03.30
CBT와 그래핀 입자를 섞은 뒤 가열해서 CBT를 녹였다. 그러자 그래핀 입자 사이사이에
액체
상태의 CBT가 채워졌다. 그런 뒤 다시 가열하자 그래핀 고분자가 완성됐다. 연구진은 고분자 복합소재 속에 그래핀 입자가 골고루 분산돼 있는지 평가하는 방법도 새로 개발했다. 고분자 물질의 단면을 ... ...
액체
상태의 나노물질 바로 ‘찰칵’
2015.03.24
높아지면 서로 뭉치려는 성질을 보였다. 이를 활용하면 자연 상태에서
액체
상태인 세포 내 분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어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낼 수 있고, 배터리의 전해질을 관찰해 고성능 배터리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한층한층 쌓아올렸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고 재료를 쌓아올린 티가 났다. 물체를
액체
속에서 뽑아내는 비결은 빛과 산소다. 재료가 굳어야 할 부분에는 자외선 빛을 쪼여주고 굳지 말아야 할 부분에는 산소를 쏴 줘서 원하는 모양을 갖추게 해 준다. 드시몬 박사는 “수십cm 크기의 입체를 0.1mm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