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뉴스
"
측면
"(으)로 총 1,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전자 위치에 대한 확률을 구하는 것 뿐이다. 많은 물리학자들은 양자역학의 이런 확률적
측면
에 반발했다.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이 한 유명한 말이다. 사실 물리학자가 신을 들먹일 때쯤 되면 자기 고집을 절대로 굽히지 않겠다는 거다. 아인슈타인은 결국 끝까지 양자역학의 ... ...
[기고/박주헌]에너지개발정책 성과, 장부로만 평가 말자
동아일보
l
2015.01.13
에너지개발 성공률을 높여 장부상 수익성도 높여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에너지안보
측면
을 무시한 채 장부상 숫자만을 근거로 에너지 개발을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의 에너지자급률은 4%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언어와 연속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새의 지저귐과 사람의 말이 비슷한
측면
이 많다고 주장했다. 말러는 1966년 록펠러대로 자리를 옮겼고 1972년 부설 생태학/동물행동학현장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기도 했다. 1989년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로 자리를 옮긴 말러는 1994년 은퇴했다. 1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비판했다. 즉 어떤 풍선이라도 물을 채우면 공처럼 부푸는 것처럼 형태 가운데 어떤
측면
은 물리적 영향을 받은 것뿐이라는 말이다. 자일라허가 특히 흥미를 보인 생흔화석 가운데 팔레오딕티온(Paleodictyon)이라는 벌집표면처럼 생긴 육각형이 반복된 구조물이 있다. 자일라허는 과거 동물이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조직에서 낙인이 찍혀 오늘내일하는 삶을 살며 스트레스를 팍팍 받는 사람들은 (경제
측면
에서) 삶의 질은 좀 떨어지겠지만 과감하게 벗어나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남들이 어떻게 평가하든 난 소중하니까.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증거를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이 사람인 건 거울뉴런 덕분? 사회적
측면
에서 파급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는 또 다른 신경과학이론도 검증의 도마에 올랐다. 바로 ‘거울뉴런(mirror neuron)’이다. 1996년 이탈리아 파도바대 생리학연구소 소장인 저명한 신경과학자 자코모 리촐라티 ... ...
탱크와 헬기 싣고 적진 돌격… 한국형 새 ‘상륙함’ 취역
동아사이언스
l
2014.11.30
보인다. 이번에 인도된 상륙함은 고속기동, 탑재능력, 장거리 수송지원 능력 등의
측면
에서 기존 상륙함보다 성능이 향상됐다. 국내개발한 전투체계와 상륙작전지휘소가 신설됐고, 방탄설계 적용구역과 방화격벽이 강화돼 함정 생존성이 한층 더 높아졌으며 전투체계·레이더·함포 등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기술을 리드한다’가 특집 제목이다)이 아니라(이건 후배에게 떠넘겼다) 미학적
측면
에 심취하게 된 것. 특히 필자가 깊은 인상을 받은 건 유명한 건축가들이나 미술가들이 의자를 디자인하는데 관심이 많았다는 사실이다. 의자는 건축물의 축소판인 셈이다. 결국 특집에 두 페이지 분량의 ‘의자로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증후군은 심리적인 현상을 신체의 반응과 연결시켰다는 점에서 드라마 속 설정과 비슷한
측면
이 있다. 거짓말 탐지기의 역사도 거짓말이라는 심리적인 현상이 몰고 오는 생리적인 변화를 어떻게 관측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거짓말을 하면 우리 몸은 평소와 다르게 반응한다.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게 맞다. 실제 상황에서 보기 ‘ㄱ’은 옳은 설명이지만 고교 과정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
이 있다. - 서울 종합대 생명과학과 D 교수 고교 교과 과정과 실제와의 간극에서 발생한 문제라고 본다. 그렇다고 출제 범위를 교과서 밖으로 넓힌다면 잘못된 문제가 이 뿐만은 아닐 것이다.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