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포인
핵인
inside
P
사람
인간
d라이브러리
"
인
"(으)로 총 2,334건 검색되었습니다.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04
우리는 이 주제를 통해서 한의학과 서양의학이 어떻게 다르며, 허준 의학의 특징이 무엇
인
지를 효과적으로 짚어낼 수 있다. 또한 전통 사회에서 시신 해부에 대한 생각이 어떠했으며, 해부학과 어느 정도 유사한 성격을 지닌 외과수술이 어떤 식으로 존재했는지를 살필 수 있다. 이런 고찰을 통해 ... ...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04
음악을 만들 수 있다.모든 음들이 진동수의 비율에 따라 서로 연관돼 있기 때문에 기준음
인
황종이 변하면 이에 따라 소리가 다 변해야 한다.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물리량의 표준을 바꾸면서 음악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은 불합리하게 보일지도 모른다.그러나 전통시대 사람들은 우주 자연이 모두 ... ...
만약 화학결합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03
원자가 생기기 이전에 이미 물질 세계의 기본 원리로 깊이 각
인
돼 있었던 것이다. 종이와
인
쇄술이 발명되기 전이니까 자연의 마음에 새겼다고 해야 할까. 마음이 물질이라는 바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 ...
2. 우애수, 완전수, 삼각수, 아라비아수
과학동아
l
200003
형상화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각은 크기가 1백80
인
평각보다 작은 각을 의미한다.
인
도-아라비아 숫자의 탄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 ...
산가지 계산법
과학동아
l
200003
보여주는 모양이 꼭 주역의 괘를 연상시키듯이 ‘산가지는 우주의 수학(數學)적
인
질서를 표상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전자계산기와 컴퓨터의 도움으로 숫자 셈에 종이와 연필조차 필요하지 않게 된 오늘날 우주의 질서까지 들먹이며 산가지 셈을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우리 ... ...
한국
인
의 눈이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003
획득한 뒤 남하해 만주와 중국 북방 등지에 거주하다가 한반도에 정착하면서 본격적
인
농경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래의 ‘뼈대’는 따뜻한 남쪽나라가 아니라 혹독한 추위가 지배하던 지역이었다는 말이다. 이쯤 알았으니 다음 겨울에는 영하 10℃ 정도의 추위는 아무렇지도 않게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03
사람들과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것까지 가능하게 만들었다.날씨와 미분방정식현대
인
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력을 맺고있는날씨도 수학을 빼고는 설자리가 없다.태풍이 분다든지 비가 온다든지 하는 기상변화와,지진이 일어나고 해류가 흐르는 것들을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 ...
3. 고온 서바이벌 게임의 승리자 세라믹스
과학동아
l
200002
세라믹스는 가볍고 딱딱한 재료로 산화알루미늄, 탄화규소 그리고 탄화붕소가 쓰
인
다. 이 중에서 탄화붕소가 가장 가볍고 딱딱한 재료로 방탄 효과가 제일 크다 ... ...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02
하며 단말기의 모습도 달리 디자
인
해야 한다는 게 사업자들의 기본 전략이다. 무선
인
터넷과 결합하며 웹비즈니스와 전자상거래 시장까지 위협하는 이동전화의 변신으로 우리 생활은 또 한번 바뀔 것이다. 이동전화의 변화와 가능성도 바로 그 안에 있다. 우리 생활에 얼마나 잘 맞게 설계되느냐가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01
비밀을 잊어버리고 살아간다. 태양이라는 가장 밝은 존재를 통해 보여주는 시간을 현대
인
은 읽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있는 앙부일구는 우리가 잃어버렸으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앙부일구의 그림자에서 자연의 시간을 읽을 줄 아는 사람,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