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속도를 좀 낮춰야 할 것 같다. 이렇게 되면 다른 여러 가지 특성들은 따라 해봄 직하다.김 교수는 과거에 직접 설계했던 비행체를 떠올리며 나머지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우선 기체는 대칭형으로 만든다. 날개도 굳이 필요 없다. 구형이든 접시형이든 크게 상관없지만, 설계의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마시더라도 가독성이 낮은 글꼴로 쓰여진 와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글꼴의 삐침 하나에 따라서도 사람의 뇌는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삐침 하나로 상품의 성패가 결정될 수도 있다”며 “글꼴의 조형미에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해서는 밝혀야 할 것이 ... ...
- [특집] 미래로 갈 파티원 모집!(1/N) 메타버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미래로 갈 파티원 모집!(1/N) 메타버스Part.1 [특집] 메타버스에서 콘서트, 졸업식, 팬사인회까지?Part.2 [특집] 온라인 수업을 메타버스에서 한다고?Part3. [특집] XR,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다!Part4.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뜨거운 국제 분쟁 해결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반면, 미국과 IAEA는 우호적인 입장을 내놓았어요.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명예교수는 “유일하게 일본의 결정을 지지한 국가는 미국”이라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과 협력하는 모양새지만, 미국은 사고 후 10년째 후쿠시마산 농수산물 수입을 막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 ...
- [특집] 수학으로 독도를 지키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2110N008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87K!~♬. 이 노래의 주인공은 바로 독도야. 그리고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지. 1900년 10월 25일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로 독도를 울릉도 부속 섬으로 명시한 날을 기념해 정했어. 이번엔 독도의 날을 맞아 제로와 내 ...
- [기획] 수학 교육 강화, Yes or No?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고려할 때 기초 지식으로 알아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규환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찬성 / 당연히 찬성입니다. 행렬과 벡터는 현재 인공지능과 더불어 자연과학과 기술, 사회 모든 분야에 걸쳐 구구단만큼이나 핵심적인 수학 과정이어서 꼭 강화해야 합니다. 안승석 (전북 원광고등학교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테스트하는데 그리스 문자는 읽을 수가 없기에 테스트도 불가능했죠. 그리스 출신 교수님과 동기의 도움으로 끝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읽힌다’는 평을 받았죠. 작은 한걸음을 뗀 기분이었어요.”그는 가장 좋아하는 글꼴로 이용제 디자이너의 ‘꽃길체’를 꼽았다. 가로쓰기가 대중 매체와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너의 떨림을 내게 보여줘!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굴곡이 많은 곡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주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물체가 공진해 떨리는 모습인 공진 모드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며 “220Hz는 랩 위 거울이 시소처럼 왔다 갔다 하도록 만드는 공진 주파수와 가까웠던 것 아닐까 추측한다”고 해석했습니다. ... ...
- [인터뷰] “부정적인 조직 문화에 휩쓸리지 않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수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장UST-KIGAM 캠퍼스 대표교수KIGAM 여성과학기술인총괄담당관WISET S멘토 버려진 석탄재를 재활용한 ‘지오폴리머’이 센터장은 광물에서 금속이 얼마나 어떤 형태로 들어있는지, 금속 추출 공정이 효율적인지, 광물 자원이 환경에 영향을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공존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하는 능력을 뜻한다. 하호경 인하대 해양과학과 교수는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능력을 키운다면 데이터로부터 해양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해 현대사회에서 해양의 중요성을 알아갈 수 있을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입을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