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1등은 이전에도 여러 번 수상한 전통의 강호, 일본 메이지대학교의 코키치 스기하라 교수가 만든 ‘끝없는 계단!’ 개인적으로는 2등 수상작품이 더 웃겨요…. 내가 이런 착시에 속다니! 풍력 발전기, 이렇게 설치한다! 조회수 : 2113만 회채널명 : Quantum Tech HD (구독자 수 : 862만 명) 강원도나 ... ...
-
- [특집] 세상을 바꾼 10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10을 기준으로 수를 묶어 세는 방법을 ‘10진법’이라고 해. 수학자 박부성 경남대학교 교수님에 따르면 10진법을 누가 가장 먼저 만들었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 고대 이집트, 고대 중국 등 다양한 문명에서 10진법이 나타났거든. 10진법이 얼마나 편리한지, 다른 진법을 쓰다가 10진법으로 ... ...
-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영토라고 표현하고 한국이 독도를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송 연구교수는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을 반영한 교과서로 유치원은 2018년부터, 초등학교는 2020년부터, 중학생은 올해부터 배우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계속해서 교과서 왜곡에 대해 지적하고 있지만 일본은 ... ...
-
- [기획] 수학 교육 강화, Yes or No?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고려할 때 기초 지식으로 알아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규환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찬성 / 당연히 찬성입니다. 행렬과 벡터는 현재 인공지능과 더불어 자연과학과 기술, 사회 모든 분야에 걸쳐 구구단만큼이나 핵심적인 수학 과정이어서 꼭 강화해야 합니다. 안승석 (전북 원광고등학교 ...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오히려 다른 계산을 복잡하게 만들어 연산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이죠. 롤케 교수는 “π값을 계산하는 경험을 이용해 슈퍼컴퓨터의 연산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방대한 양의 자료를 처리해야 하는 유전체 분석이나 유체역학, 지질학 등의 분야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 ...
-
- [한페이지 뉴스] 14개 원소 품은 ‘슈퍼 다원소 촉매’의 탄생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또 내구성이 뛰어나 산성 용액에서 10시간을 둬도 다공성 구조가 그대로 유지됐다.후지타 교수는 “금속 말고도 황이나 인 같은 비금속 원소를 포함한 촉매를 개발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사이언스’ 8월 2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9/D1SC0198 ...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마치 글자의 닿자(초성)가 빨랫줄에 걸려 있는 것처럼 받침에 따라 높이가 다르다. 박 교수는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뤄져 조형미가 극대화된 문자”라며 “탈네모꼴 글꼴의 등장 이후 새로운 한글꼴이 계속 개발됐으며 비교적 역사가 짧은 한글 글꼴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 ...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혁신형 SMR 국회포럼’도 출범하며 정계도 차세대 에너지원 개발에 합심하고 있다. 김 교수는 “뉴스케일파워의 기술을 그대로 따라 할 게 아니라 이제는 보다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라며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비를 더 낮추는 등 다른 분야의 기술을 접목해 경쟁력을 ...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너의 떨림을 내게 보여줘!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굴곡이 많은 곡선 모양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주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물체가 공진해 떨리는 모습인 공진 모드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며 “220Hz는 랩 위 거울이 시소처럼 왔다 갔다 하도록 만드는 공진 주파수와 가까웠던 것 아닐까 추측한다”고 해석했습니다. ... ...
-
-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의견을 선택한다고 답했다. 강의를 비판적이나 창의적으로 본 학생보다 수용적인 태도로 교수의 생각을 흡수한 학생이 더 좋은 성적을 얻은 것이다. 이른바 ‘한국형 천재’가 만들어지는 수순이었다.놀랍지만 한편으로 당연한 결과였다. 그동안 한국의 교육은 암기와 계산을 잘하는 인재를 키우는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