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몇 해 전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무척이나 서운해 했다. 2001년 폐기돼 지금은
볼
수 없는 러시아의 미르 우주정거장에 대한 궁금증도 직접 다녀온 그에게 묻지 않을 수 없었다. 개인적으로는 소문으로만 들었던 샤워실이나 사우나가 정말로 있었는지가 가장 궁금했다. 샤먼 박사는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그런데 말이야…. 사실 우리는 지금 매우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있어. 우리 집이었던 (구)농림축산검역본부는 원래 일반인들이 들어오지 못하는 곳이었어. 그래서 개 ... 공존하기 위한 공원인지는 확실하지 않다”며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켜
볼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화보] 지금 이곳은 한겨울, 남극풍경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7월 8일 현재 이곳은 영하 35도입니다. 3개월째 해가 뜨지 않는 극야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서울에서 1만2740km 떨어진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제6차 장보고과학기QD지 ... ‘제9회 극지사진 콘테스트’ 수상작이다. 수상작 11편은 극지연구소 홈페이지(www.kopri.re.kr)에서도
볼
수 있다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힘을 쏟고 있다”며 “UST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기초 연구와 실용화 연구를 모두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진로를 선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SI ┃'블랙홀 3인방'의 탄생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올해 4월 10일 전 세계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공개된 초대형 블랙홀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꾸준히 대화할 수 있도록 지역 주민들로 이뤄진 팀을 만들었고, GM 모기의 경과를
볼
수 있는 지역 사회 주도의 모니터링 팀도 따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경험을 합니다. 합성 피부로 전기장의 변화를 느끼고, 눈 역할을 하는 카메라는 인간이
볼
수 없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전자기파를 감지합니다. 지마가 보는 우주는 인간이 보는 우주와 완연히 다르겠지요. 이를 통해 예술적인 영감을 얻어 작품을 만듭니다. 그러던 어느 날부터 지마의 작품에 꾸준히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음모론의 스토리텔링은 매력적이다. 실제 사실과 상상 속의 사실을 잘 짜 맞춰 어디서도
볼
수 없던 ‘의미’를 만들어낸다. ‘수면자 효과’도 이유로 꼽힌다. 수면자 효과는 신뢰도가 낮은 출처에서 나온 메시지의 설득 효과가 시간이 지나도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10만 광년에 3000억 개 내외의 항성을 갖고 있다. 흔히 은하단을 얘기할 때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은하를 중심으로 말하지만, 사실 은하단 내에 은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단 1%에 지나지 않는다. 이외 9%는 은하 사이에 있는 고온의 플라스마 가스고, 나머지 90%는 암흑물질로 채워져 있다. 암흑물질의 ... ...
아쿠아맨! 우리는 뭘 풀어야 하죠?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 뜯어보기 1 밀레니엄 문제 N-S방정식은 이렇게 생겼다! ● 뜯어보기2. 특이점이란?함수에서 특이점은 미분이 불가능한 뾰족한 지점이다. 만약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N-S 방정식에 ...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그래서 더 풀기 어렵다.※ PDF를 이용하면 더 자세하게
볼
수 ... ...
후보1. 예술성·수학성 모두 갖춘 잠자리 날개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있는 실처럼 얇은 관이 보이나요? 이게 바로 ‘시맥’이에요. 잠자리의 혈관이라고
볼
수 있죠. 시맥은 길이와 굵기에 따라 다시 길고 굵은 ‘제1차 시맥’과 상대적으로 얇고 짧은 ‘제2차 시맥’으로 나뉩니다. 사람의 손금이 모두 다르듯 잠자리마다 날개 무늬도 다른데요. 좌우로 마주보는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