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안테나가 트랜스폰더의
신호
를 받아 기록장치로 보내는 거지. 선수마다 각기 고유한
신호
를 내기 때문에 누가 언제 어떤 구간을 통과했는지 쉽게 알 수 있어. 세계에서 가장 큰 눈!마라톤 중계를 보다 보면 선수 맨 앞에 자동차 한 대가 앞서서 따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 거기에는‘위성항법장치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버섯에 독이 들어 있는 건 잘 알려져 있지요. 복어독인 테트로도톡신에 중독되면 신경이
신호
를 전달하지 못해 근육이 마비되고 심하면 숨을 못 쉬어 죽게 돼요. 또 독버섯은 종류에 따라 환각을 일으키거나 숨을 쉬기 어렵게 만들고 심하면 목숨을 빼앗아 가기도 하지요.”요리사가 떨리는 목소리로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상호작용하며 더 정교한 선호판단을 내린다. 안와전두엽은 측핵에서 오는 정서적인
신호
를 이성적으로 조율해 최종 의사결정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200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매튜 리버만 교수팀은 흑인의 얼굴에 자동으로 반응하는 편도체의 활동이 전두엽 활동으로 크게 줄어든다는 ... ...
[천문학]이웃 태양계엔 소행성대가 2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외계 행성계에 소행성대가 있다는 사실은 지구 같이 암석으로 이뤄진 행성이 있다는
신호
로 받아들인다.미국항공우주국(NASA) 칼 스테펠펠트 박사는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적외선 카메라와 분광계로 에리다누스자리에서 5번째로 밝은 별인 ‘엡실론 에리다니’를 관찰했다.엡실론 에리다니는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없을 거라던 관련 연구자들의 예상이 틀린 것이죠.” 그 뒤 최 교수팀은 빛의 자극이 신경
신호
로 전달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G단백질의 G알파 단위체의 조각이 옵신에 결합된 상태의 결정도 만드는데 성공했다(9월 25일자 논문). 옵신에 G알파 단위체가 붙은 활성 상태인 옵신의 구조는 단위체가 ... ...
[화학]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어나야 한다. 영양분을 섭취해 필요한 에너지로 바꾸고 생체구조물을 만들며
신호
를 전달하는 모든 과정은 화학반응을 통해 일어난다. 효소는 이런 과정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생화학적 촉매다.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생물체 안에서 화학반응이 빠르고 쉽게 일어나도록 돕는다.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물고기잖아요. 날아다니는 물고기는 절대로 없다고요!”바로 그 때 제트가 삑삑~
신호
음을 보낸다.“저쪽을 보세요!”닥터고글이 가리킨 곳에는 물고기가 떼를 지어 날아가고 있었다. 기막힌 장관에 말문이 막힌 사람들을 향해 닥터고글이 입을 연다.“저건 날치예요. 다나카 군이 보았다는건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❸ 위치 추적안테나형 무선추적기로 동물의 위치를 추적한다. 동물이 있는 곳에서는
신호
가 강해져 위치를 알 수 있다.❹ 위성항법장치(GPS) 이용최근 개발된 추적기는 GPS 장비와 연결돼 휴대폰이나 컴퓨터로 쉽게 추적할 수 있다.2.“야생동물을 조심하세요.”- 사고 경고 내비게이션!환경부는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태양이 방출하는 방사선 입자인 태양풍이 도달하는 태양계 끝부분을 여행하며 약한 전파
신호
를 보내고 있다.NASA 역사상 최악의 참사1981년 4월 12일 최초 우주왕복선 컬럼비아가 날아올랐다. 붉은 색의 커다란 연료통 양쪽에 고체로켓 2개를 붙인 뒤, 그 위에 비행기 모양을 한 왕복선을 얹어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조금씩 다르다.연구팀은 두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두 유전자가 동일한
신호
체계에 있으며 핑크1이 파킨의 상위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작용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 결과는 2006년 5월 세계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에 발표됐고 전 세계 연구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그동안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