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몽고인이 건너가먼저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을 살펴보자. 베링해협을 건너온
아시아
족, 즉 몽고족이 중남미인의 주류라는 학설이 유력하다. 수렵을 하기 위해 몽고족이 수차에 걸쳐 중남미로 이동해 왔다는 것이다. 또 태평양 중부지역 사람들(Melanesia)과 남태평양 사람들(Polinesia)이 밀려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坤輿圖說)도 참고했을 것으로 추측된다.이처럼 여지전도는 그 당시의 서유럽과 동
아시아
의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그것을 서양식으로 그리지 않고 조선식으로 그린 점이 이 세계지도의 특징이다. 최신의 정보와 지도학의 지식을 전통의 도가니 속에서 용융시켜 만든 것이다. 이 융합은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하게 된 하나의 이유가 된다.) 이제 일본인들은 구 실크로드를 따라
아시아
의 길이만큼 긴 현대식 고속도로를 꿈꾸고 있다.그들은 또한 히말라야 산맥의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하여 무공해 전기를 생산하고 파나마운하의 바로 남쪽인 콜롬비아의 북서쪽 끝부분에 대서양과 ... ...
언어능력의 암수차를 보이는 짧은꼬리원숭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라 고줄은 짧은꼬리원숭이의 고함을 분석하다가 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동남
아시아
에서 들여온 황색의 이 원숭이는 위험을 경고하고, 적에게 겁을 주고, 음식이 있는 곳을 알리고, 그들 사회의 계급을 나타낼 때 고함을 질러댔다.고줄부부는 짧은꼬리원숭이의 비명을 적어도 네가지로 ... ...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향후 2~3년간은 지속돼 내년에는 1백만대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 규모는
아시아
에서 일본을 제외한 최대이며 세계적으로도 다섯손가락 안에 꼽히는 엄청난 시장이다.내수 폭발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학교 컴퓨터 교육. 정부가 다가오는 정보화 시대를 대비해 컴퓨터문맹퇴치를 목표로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세계지도라고 평가했다. 물론 이 지도의 가장 큰 결점은 중국과 조선을 너무 크게 그려
아시아
대륙과 유럽 및 아프리카대륙 간의 균형이 잡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이 지도는 조선 초의 학자들이 서유럽과 아프리카에 대해서도 많은 지리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들은 그 ... ...
금성─불 동반관계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술이전을 위한 조직을 정비하여 한국에 기술지원을 강화하며 2단계로 양사가 공동으로
아시아
지역 공동조사팀을 구성하여 전략제품을 판매한다. 마지막 3단계에 가서 양사는 세계적으로 관심분야에 대한 공동개발 구매 제조 판매 등에 협조체제를 갖추어갈 계획이다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자외선 양의 증가속도가 유럽보다 훨씬 느리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아시아
대륙에서 산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지구 성층권을 엉망으로 만든 오존층의 구멍은 때로 학자들을 당황하게 할 정도로 변덕스럽기 때문이다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 없다"고 말한다.과학저널리스트 현원복씨는 "동양인 수상자들을 보면 비록 국적은
아시아
인이지만 그 학문적 계보는 모두 미국 유럽쪽에 속한다. 곧 노벨상을 탄 스승 밑에서 연구를 하는 것이 노벨상을 탈 수 있는 첩경이다. 따라서 해외에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국내 학자들보다 상대적으로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드릴 수 있다. 그 방법은 바로 위대한 스승을 갖는 것"이라고 서슴없이 말했다.그것은
아시아
출신의 몇몇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들은 거의 모두가 '훌륭한 스승'을 만날 수 있었던 과학계의 행운아들이었다. 예컨대 30대의 젊은 나이에 1957년 '패리티보존법칙의 반증연구'로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