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연구원은 UST의 장학금 제도와 뛰어난 연구 시설을 UST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다. 여러 국적의 친구를 사귀고, 가족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실제로 UST 학생의 30%는 외국인으로 선발하며, 현재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등 40여개국의 학생들이 연구하고 있다 ... ...
- [도전! 섭섭막사 메이커] 99자 그림을 그려 보자! 하모노그래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관찰했어요. 그 결과 두 굽쇠가 진동하는 수에 따라 직선과 타원, 무한대 기호까지, 여러 가지 모양의 선이 만들어졌어요. 이 곡선을 ‘리사주곡선’이라고 해요.이후 스코틀랜드의 수학자 위그 블랙번은 19세기 중반 리사주의 장치를 더 발전시킨 ‘하모노그래프’를 만들었어요. 하모노그래프에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제트기류, 체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래한 영단어 cell(세포)가 더해진 말이에요. 이름처럼 체세포는 생물의 피부, 장기 등 여러 조직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지요. 생물은 체세포에 종별로 같은 수의 염색체*를 갖고 있어요. 예를 들어 사람은 체세포에 46개의 염색체, 고양이는 38개의 염색체가 들어 있답니다. 생물은 체세포 분열로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설명할게. 하지만 실제 딥러닝은 여러 개의 퍼셉트론이 이어진 구조야! 다시 말해 여러 개의 함수를 합성하는 거지. 오늘은 폴리매스 랜드에서 행사가 열리는 날! 에프매스가 행사에 참여할지 말지 AI로 예측해보는 문제를 풀어봅시다.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함수에 데이터를 넣어 계산한 결과를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융해 연못(melt pond)’이다. 이 연못에 새로이 눈이 내리면 하루 새에도 풍경이 바뀐다. 여러분이 익히 알고 있는 겨울 동화속 모습처럼 연못은 온데간데없고 온 세상을 눈이 소복이 덮고 있다.단순히 눈이 많이 왔기 때문만은 아니다. 연못 위로 내리는 눈은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그래서 연못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많습니다. 우리는 이미 소아·청소년들의 집단감염 사례를 여러 번 목격했습니다. 학원, 어린이집 등을 통한 감염입니다.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소아·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코로나19에) 걸리지 않는 것은 맞지만, 아예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는 ... ...
- AI 치우침을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내릴 것이라는 대중의 생각과 달리, AI가 실제로는 편향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사실이 여러 번 드러나 논란을 겪었다. 대표 사례를 소개한다. 편향을 감춘 알고리즘인종 따라 재범 확률 차별, 컴퍼스2016년 미국의 독립언론 ‘프로퍼블리카’는 탐사보도를 통해 미국 20여 개 주 법원이 사용하던 AI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모두 해독해냈다. 이렇게 해독한 염기서열 정보를 토대로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면 여러 생물학적 특성이나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의학적,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길잡이라는 뜻에서 유전체 정보를 종종 ‘유전체 지도(genome map)’라고도 부른다.하지만 유전체 지도만으로 ... ...
- [여섯 번째 대멸종] 원인이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체 생물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뭐냐고? 대멸종의 원인은 다양해.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대멸종이 일어나기도 하지. 그 원인들을 하나하나 말해줄게! ...
- [4컷만화] 석탄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흑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러자 구리 포일에서 불꽃이 튀면서(사진) 석탄가루가 흑연 나노입자로 변했어요. 여러 차례 실험한 결과, 흑연 나노입자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시간은 15분인 것으로 드러났죠.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석탄을 고품질 흑연으로 만들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고 밝혔답니다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