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고무로 만든 인공근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사람의 근육처럼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며 움직이는 거예요. 별도의 장치 없이 고무와
공기
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움직이는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답니다.화이트사이드 박사는 “이 기술을 응용하면 앞으로 인간처럼 부드러운 몸을 가진 로봇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포부를 밝히기도 했어요.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가 나오면 지구의
공기
도 훨씬 깨끗해지겠죠? 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친환경 자동차가 마음껏 거리를 누비는 날을 함께 기대해 봐요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맞대기 시작했지요.일반적으로 물에서는
공기
중보다 움직이기가 어려워요. 물의 밀도가
공기
보다 800배 높기 때문이에요. 마찬가지로 물에서는 요트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이 훨씬 커요. 그래서 사람들은 요트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바닥에 ‘ㄴ’자 모양의 날개를 붙이는 방법을 생각해 냈지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면적에 비례해요. 즉, 면적이 넓은 낙하산을 펼치면땅으로 떨어지려는 힘에 반대되는
공기
저항이 커져서 떨어지는 속도가 느려진답니다. 실제 실험에서도낙하산이 없을 때보다 낙하산을 달았을 때 더 천천히 안정적으로 땅에 착지했어요.요구르트 병 로켓 실험을 비롯해 실험하는 모습을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2
진흙처럼 입자가 고운 흙에 묻힌 경우엔 부패 속도가 더뎌진다. 이런 환경에선 수분과
공기
가 투과하기 힘들고 시체를 물리적으로 훼손할 수 있는 동물이나 곤충도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집단 매장지에서 시체가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또 주변 환경은 어떤지 등을 고려하지 않고 홀로 발견된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12
위로 눈이 내려앉았다가 녹아든다. 바람은 차고 시원했다. 영희는 숨을 크게 들이쉬었다.
공기
가 신선했다. 눈앞에 흰 산이 굽이굽이 펼쳐져 있다. 어느 시골 기차역인 듯 싶었다.영희는 당혹스러운 기분으로 주위를 돌아보았다. 그 친구가 기찻길 옆 벤치에 앉아 있었다. 10%의 지지를 얻는 시골 출신 ...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사용하는 화학물질이에요. 흔히 쓰는 살충제나 농약도 모두 살균제에 속하지요. 1928년에
공기
중에 표백제를 뿌리면 미생물이 죽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뒤, 살균제가 개발되고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지요.미생물은 원래 높은 온도의 열이나 강한 자외선에도 죽지만, 살균제 같은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기준으로 했을 때 인체대상 제품에 쓸 수 없는 화학물질은 26종에 불과해요. 특히
공기
중에 미세한 입자로 뿌려져서 호흡기에 직접 들어갈 수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 기준은 최근까지 분명하지 않았지요.정부는 2015년 1월이 되어서야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금까지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
과학동아
l
201612
사용해 수용액을 공중에 띄운 모습.
공기
와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지구에서와 달리 물질을 온전하게 볼 수 있다. 실제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는 단백질 구조를 명확히 밝혀 신약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장치로 우주의 무중력환경을 만들어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12
주롱온천의 수온이 1991년 67~69℃였던 것이 최근에는 72~83℃까지 상승했다. 온천수에서
공기
방울(기포) 형태로 나오는 화산 가스를 채집해, 포함된 헬륨의 동위원소 비를 분석한 결과, 이 헬륨이 맨틀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결과도 보고됐다. 이는 지하 마그마 방으로부터 지표로 지열이 계속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