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4,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12
고종황제가 정치외교 고문이었던 미국인 데니에게 하사했다가 그의 후손이 우리나라에
다시
기증한 태극기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입니다. 태극 모양과 ‘건곤감리’라 부르는 4괘의 색깔도 지금의 태극기와 다르답니다. 계산 성당을 지나 이상화 시인의 고택으로 가는 길 위에서도 타일로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
과학동아
l
201612
된다는 점이다. 마지막은 대책(Action)이다. 가장 중요하지만 빼먹기도 쉬운 대목이다. “
다시
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습니다”라고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실수로 무엇을 ... 있었으나 내가 그런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가 숨어 있다.이 관점에서 담화문을
다시
보자. “그 과정에서 특정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
과학동아
l
201612
금지했다. 이 규칙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 에밀리는 일주일 후 남장을 하고 카페에
다시
나타났다. 사람들은 그를 알아보지 못했고, 출입을 허락 받은 그는 과학에 대한 토론을 할 수 있었다. 나중에야 그를 알아본 사람들은 그의 배짱과 열정에 놀랐다.에밀리는 1733년 프랑수아 마리 아루에를 ... ...
[수학 뉴스] 갈대 같은 내 마음 수학이 더 잘 안다
수학동아
l
201612
일관적이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하나만 거짓으로 드러나도 그와 관련된 모든 믿음을
다시
살펴본다는 거지요.인간이 스스로 논리적 일관성을 가지려고 한다는 건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이를 행렬식으로 나타낸 건 처음입니다. 프리드킨 교수는 “이 새로운 수학 모형은 복잡한 이슈에서도 사람들의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
수학동아
l
201612
거지요. 이때 게임 플레이어가 화면을 터치하면 중력값을 초기화해요. 그래야 새가
다시
하늘을 날 수 있거든요.게임 오버 판단은 원과 직선의 관계로!플래피 버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애물과 새가부딪혔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예요. 보통 이럴 때는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를 따져 판정해요.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12
위치한 전기안전연구원에 대전류공급장치가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케이블을 싸 들고
다시
완주로 내려갔다. 2000A를 흘리는 순간, 케이블의 군데군데에서 연기가 나기 시작하더니 곧 불연속적으로 불이 붙었다. 화재 당일 끊어진 케이블도 이렇게 불규칙한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불에 타 있었다.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
수학동아
l
201611
0.4999km 밖에 있는 순간이 발생할 확률은 N이 무한히 커지면 1에 수렴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주자가 아주 많다면 1nkm를 0.4999km로 바꿔도 이 문제가 성립할 가능성이 매우 커진다는 겁니다.여러분도 문제에 도전하세요!가끔 이렇게 쉬워 보이는 문제가 40년 이상 미해결로 남아 있어 놀라울 때가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11
10m 앞서나가고 있겠지요. 이 10m는 아킬레스가 1초 만에 따라잡을 수 있어요. 그동안 거북은 1m
다시
앞서겠네요. 그리고 아킬레스가 0.1초 만에
다시
1m를 따라잡을 수 있고, 거북은 10cm 앞서겠죠.”단이 말할 때마다 아킬레스는 거북에게 다가갔다 ... 수론을 다뤘다. 제 6권에서는 제5권의 내용을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11
지역에 있는 쿠로시오 발원지의 기후가 쿠로시오 해류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한반도 주변 바다와 북서태평양에 기후변화를 일으킨다”며 “대양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기상과 기후를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런 연구는 태풍이 언제 올지를 예측하는 데도 쓰인다.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11
연구팀이 사지마비 환자를
다시
느끼게 만드는 데 성공하고 그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중계의학’ 10월 13일자에 발표했다.미국 피츠버그대 재활의학과 로버트 가운트 교수팀은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고, 또 로봇 팔이 사물에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