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
총포
화포
새빨간 거짓말
허풍
d라이브러리
"
대포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08
배의 체적이나 목재로 보아 큰 부력을 가지고 있어 1백40여명의 인력과 적재된 많은 철제
대포
에도 불구하고 적에게 격파가 되어 떠다닐지언정 절대 가라앉지 않는다는 것이다. "설령 가라앉았다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훨씬 숫자가 많았던 판옥선이나 일본의 전투함이 한척도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05
곡사포 10대 보다는 정밀계측기계가 딸려 자동적으로 폭파지점을 보정해주는 한대의
대포
가 훨씬 더 위력적이었음을 2차대전은 똑똑히 보여주었다.하여간 전쟁은 끝났고 사람들은 만세를 불렀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보니 그냥 만세만 부를 일이 아니였다. 그동안 국방부에 비싼 무기들을 납품했던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02
최고의 기술을 총동원하기 때문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군사무기는 고작해야 총
대포
와 같은 원시적(?)인 무기뿐이어서 기상조건과 사령관의 작전, 군인들의 정신력만이 승패를 결정짓는 수단이었다. 산업혁명의 결과로 얻어진 기계문명의 덕택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는 비행기와 같은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01
음향시스템 집게등을 갖추고 있었다. 1965년 이 로봇은 2백40m 깊이에 가라앉아 있던
대포
를 건져올렸고 66년에는 수심 6백93m 깊이의 스페인 해에서 사고로 떨어진 수소폭탄을 되찾아 올 수 있었다.현재 전세계에는 폭탄 회수능력이 있는 로봇이 최소한 6백기(基)정도 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그 기능도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01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계산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에니악(Eniac)이 탄생했다. 에니악은
대포
의 탄도계산을 목적으로 설계된 계산기였기 때문에 전쟁이 끝난후 컴퓨터는 다른 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주로 미국정부의 회계 및 세금계산에 사용됐는데 민간기업에서의 이용이 활발해짐에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10
채석장과 건설현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다. 14세기에 이르러서는 소총과
대포
등 무기의 추진제로도 활용되기 시작했다.흑색화약의 제조법은 수세계를 통해 거의 변치 않고 전해 내려왔다. 최초의 배합은 질산나트륨(초석을 말한다) 흑연 황이 각각 75 : 15 : 10의 비율(무게당)로 이뤄져 있었다. ... ...
낙하속도가 질량과 무관함을 증명한 「피사의 사탑」 실험은 실제 있었을까?
과학동아
l
199008
나는 실제로 실험을 해보고 다음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70kg 정도의
대포
알과 불과 2백50g의 총알을 함께 2백큐빗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면 전자는 후자보다 기껏해야 한 뼘 정도 먼저 낙하한다는 것입니다.이 내용을 보고 나중에 갈릴레이의 전기를 구성한 비비아니가 2백 큐빗의 높이가 ... ...
스키장에서 활약한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03
눈
대포
에 물 공기 등과 함께 혼합시키면 만사가 해결될 듯 하다. 이 단백질이 눈
대포
가 더많은 눈송이를 생산하게 하고, 고온에서의 작동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공해문제도 '눈 녹이듯이' 사라지게 할 것이다 ... ...
PARTⅠ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
과학동아
l
198904
그 물체는 스테인리스처럼 딱딱한 덩어리로 보였다. 불어나는 크기를 멈추어보려고
대포
도 쏘아보고 미사일도 쏘아보았지만 그 물체는 아랑곳없이 점점 더 증대, 마침내 반지름 4천m의 크기로 커졌다.이제 1천m만 더 불어나면 그 구면은 땅에 닿을 것이다. 그러면 부근에 있는 국회의사당 동아일보사 ... ...
모스크바
과학동아
l
198903
종루가 우뚝 서있다. 21개의 호화로운 종이 매달려 있는 종루 아래에는 두 대왕이 있다. ‘
대포
의 대왕’이라는 중세기 최대의 캐논포와 직경 6.6m의 ‘종의 대왕’이 그것이다.크레믈린 성벽의 동쪽 바깥이 붉은 광장이다. 7만3천m²나 되는 장방형의 이 광장 서쪽은 크레믈린 성벽이고 그 앞에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