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d라이브러리
"
머리
"(으)로 총 3,446건 검색되었습니다.
벌레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3
나타났다가 저절로 낫게 돼요. 하지만 임신한 여성이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태아의
머리
와 뇌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고 작게 태어나는 ‘소두증’에 걸릴 수 있어서 문제랍니다.진드기가 옮기는 병 급증!진드기는 우리나라의 숲이나 풀숲에 사는 거미류의 생물이에요. 약 2~3mm의 작은 크기지만 ... ...
[수학 뉴스] 폴 포그바의 댄스, 수학 문제로 등장
수학동아
l
201612
포그바의 댑 댄스가 부러워 따라 해봤지만 실패했다. 완벽한 댑 댄스는 몸과 팔,
머리
로 직각삼각형 두 개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다면 사진 속 포그바의 댑 댄스는 완벽할까?망숑은 학생들에게 ‘삼각법’을 가르치기 위해 이 문제를 만들었습니다. 삼각법은 삼각형의 변과 각 사이의 관계를 따지는 ... ...
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
수학동아
l
201612
몰라. 만약 저 사람들이 전용 비행기를 띄운다면 그땐 비용을 얼마나 청구해야 할지
머리
가 아프군.”그러자 동료 직원이 물었어요. “비행기를 띄울 때 내는 비용도 있나요?”“당연하지. 각 항공사는 공항에 착륙하는 비행기의 대수에 비례하는 ‘착륙료’를 내야 해. 활주로를 짓는 데 들었던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2
그냥 돌일 뿐. 별 생각 없이 암석 하나를 주워들었다. 그런데….너무 가벼웠다! 사람
머리
만 한 돌을 한 손으로 거뜬히 들었다. 이 책임연구원은 기자에게 돌덩어리를 수조 속에 넣어보라고 했다. 설마 했지만 속는 셈치고 그의 말에 따랐다. 잠시 뒤 기적이 일어났다. 돌이 물 위에 떴다(아래 사진).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12
길이는 총 10만km가 넘는다. 혈관 네트워크가 프랙탈을 띠는 덕분에 심장에서 출발한 피는
머리
꼭대기와 손가락 끝, 발가락 끝까지 널리 고루고루 퍼진다. 생물이 호흡으로 얻은 산소와 물질대사로 만든 에너지는 혈관을 타고 온몸 곳곳으로 퍼진다.즉, 프랙탈을 따라 퍼진다. 주먹보다 작은 생쥐부터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12
뿐이다. 모두가 제 위치에서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고 나도 그랬을 뿐이니까. 신영희는
머리
를 쓰다듬었다. 보는 사람도 없는데 쑥스럽게 웃었다.이처럼 멋들어진 패배로 마무리 지은 승리라니.내 말로써 말의 시대를 저물게 해 버리다니.영희는 전장을 함께 헤쳐 나온 동료에게 기사가 ‘그동안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
수학동아
l
201612
듣고 나서 ‘부모님의 직업이 프로그래머가 아니어도 참여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머리
를 스쳤다.하지만 학교는 프로그래밍을 잘 모르는 부모님이라도 자녀와 함께 힘을 합치면 미션을 통과할 수 있도록 대회를 꾸몄다. 대회 뒤 학부모와 학생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음은 물론이다. 학교의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612
조금 숙이자 마천루 사이로 스카이다이빙을 하는 기분이 들었다. 조금 더 숙였더니 살짝
머리
로 피가 쏠리면서 추락에 대한 공포감이 확 몰려왔다. 덜컥 헤드셋을 벗자 맨해튼 풍경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진짜 새가 된 것 같죠? 가상현실(VR) 비행 시뮬레이터 ‘버들리(Birdly)’입니다.”2014년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
나타낼 땐 주로 ‘Horn’ 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답니다.사슴뿔은 두개골에서 나온 뼈가
머리
위쪽으로 자라면서 만들어져요. 바깥쪽엔 뼈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피부가 있지요. 그래서 뿔이 어느 정도 자라면 바깥쪽에 있던 피부는 떨어지고, 뿔은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답니다. 그리고 매년 ...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
과학동아
l
201612
사람들은 천구를 사발처럼 납작하게 인식한다고 해요. 지평선에 가까운 하늘은 멀고,
머리
꼭대기의 하늘은 가깝다고 생각하는 거죠. 이것은 ‘폰조 착시’를 일으킵니다. 즉 멀다고 느끼는 지평선에 떠 있는 달을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폰조 착시 : 윗변이 아랫변보다 짧은 사다리꼴 안에 같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