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
세균
병원균
균류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독
d라이브러리
"
병균
"(으)로 총 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09
분 속에 있는 벌레 및
병균
이 죽는다. 종래 분을 그대로 농작물에 사용함으로써 생겼던
병균
들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KIST의 조사길과 안정화과정 후의 대장균수는 8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이어 분과 소석회는 비닐하우스 형태의 태양광 건조기를 지나고 기계식 건조기로 ... ...
확률은 도박에서 왔다
과학동아
l
199407
날이 없는 대제국이었고, 런던에는 전세계의 문화가 들어오는 것과 함께 전염병의
병균
도 들어왔다. 영국은 여러 차례 페스트의 전염에 시달렸다. 그 무렵 런던 시민의 $\frac{1}{2}$이 페스트를 피해 시외로 피난했을 정도였다.이 무렵 시 당국에서는 '사망표'를 매주 목요일에 발행하기도 했었다. ... ...
야생땅콩재배로 박토를 옥토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309
땅콩종(種)을 구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또 미국의 땅콩기업들은 그들 나름대로,
병균
에 잘 견디고 상업용으로 재배하는 땅콩을 교배하는데 유용한 야생 땅콩을 되살리자는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이같은 운동이 벌어지는 이유는 여러 모로 우수한 성질을 가진 야생 땅콩이 일반 콩에 밀려 ... ...
어른 5명 중 4명은 치주병 환자
과학동아
l
199307
식품첨가물 잔류농약,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등은 입안 미생물의 생식환경을 바꾸어 치주
병균
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결국 치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공식품 등은 되도록 피하고 식물성 섬유질을 많이 함유한 야채나 해초 등을 먹는 것이 좋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이에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12
대량제조한 뒤 이를 동식물에 제공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일단 동식물이 한가지
병균
에 대해 한종류의 항체만을 생산하는 것을 이용, 특정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세포융합한 후 이를 대량으로 배양한다. 그런 다음 특정한 항체를 분리해 병해의 진단이나 치료약으로 사용하게 되는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09
때문에 허물어지게 될까?쓰레기를 땅속에 묻으면 쌓아놓는 것보다 눈에 잘 띄지도 않고
병균
문제도 적어지지만 쓰레기의 과잉문제는 지구상의 면적을 줄게 만든다. 사막이나 얼음판이나 바다나 산꼭대기 등 사람이 살지않는 곳에 쓰레기를 버린다고해도 해결책이 찾아지는 것은 아니다. 매우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05
1966)라는 영화도 아시모프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인체 내부에 있는 악성
병균
을 퇴치하기 위해 탐험대가 조그맣게 축소되어 인체 내부로 여행을 떠난다는 얘기는 당시 대단한 인기와 화제를 끌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아시모프는 1987년에 이 작품의 2부격인 '두뇌로의 여행'(Fantastic Voyage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11
일을 하거나 결과가 나오더라도 원래 나와야 하는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오도록 만든다.
병균
이 그러하듯 컴퓨터 바이러스도 나쁜 일만을 골라하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된다.어떤 일을 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만들 경우에 이같은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일부러 만들어 넣을 사람은 없을 테니까 ... ...
수의학이 인간의 질병해명에 기여
과학동아
l
199111
다른 질병으로부터 격리돼 있다. 그러나 인간은 자기가 앓고있는 병 이외에도 여러가지
병균
에 감염돼있을 가능성이 크다.인간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하는 행위에 윤리적인 문제 제기도 없지 않다. 수의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민감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10
사용한 사람은 독일의 식물병리학자인 안톤 토 베이리였다(1879). 토 베이리는 보리 부패
병균
이나 지의류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데 그 연구를 하면서 공생현상에 강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봐도 그가 내린 공생에 관한 정의가 가장 광범위하다. 그는 다른 생물과 함께 생활하는 현상 전부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