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분리
붕괴
파열
분해
열개
분파
d라이브러리
"
분열
"(으)로 총 8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11
양은 바이러스가 이용할만큼 충분하지 않다(항암제의 부작용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분열
속도가 빠른 정상세포도 함께 죽인다는 점이다).이렇게 암세포에서만 자라도록 유전자를 변형한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JX-594’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여기에 ‘GM-CSF’를 만드는 유전자도 추가했다. GM-CSF는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10
대장균이 경쟁할 경우 후자가 이긴다. 독소를 만드는데 자원을 쓰지 않기 때문에 세포
분열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바위와 보의 관계인 셈이다.해독제만 만드는 대장균과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대장균이 만나면 후자가 번성한다. 해독제를 만드는데 자원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보와 가위의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10
증가하고 있다. 힘과 시간의 그래프에서 충격량을 유추한다든지(9월 모의평가 2번 문제),
분열
시 운동량 보존을 이용해 역학적 에너지를 물어보는 문제 등(9월 모의평가 9번 문제)은 정답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9월 모의평가의 7번과 10번 문제처럼 충격량과 상대속도, 에너지 보존을 함께 ... ...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09
데 성공했다고 발표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이 배아는 세포가 6개까지
분열
된 뒤 멈춰 줄기세포를 얻지는 못했다. 그런데 2004년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복제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했다는 논문을 ‘사이언스’에 발표하면서 전 세계를 경악시켰다.그러나 2005년 말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08
개체가 된다. 이들은 영양염이 풍부하거나 수온이 성장하기에 알맞으면 하루에도 1~2번씩
분열
을 할 수 있다. 이는 한 개체가 사흘 뒤에는 8~16 개체로 늘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바다에서 적조가 일어나는 것도 이처럼 식물플랑크톤이 빠르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08
반응했다.연구자들은 “도시 거주자들은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39% 더 높고 특히 정신
분열
증에 걸릴 가능성은 2배나 된다”며 “이런 경향은 유전적 요인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도시의 어떤 환경이 뇌가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패턴을 바꿔 놓았을까. 이에 대해서는 추가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08
정원중 박사팀과 극지연구소 최한구 박사팀이 북극 해양에서 찾아낸 미세조류는 세포
분열
속도가 빠르면서도 지질함량도 높아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다만 북극에서 살다보니 적정 생장 온도가 낮다. 현재 에이스하이텍이라는 바이오벤처가 이들 조류에서 바이오연료를 얻기 위한 연구를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08
있다.이번 원전 사고에서 첫날 재앙의 시작을 알린 ‘수소가스폭발’은 원자력발전의 핵
분열
현상과는 거리가 먼 ‘외적인’ 문제다. 방사성 연료를 둘러싸고 있는 피복재에 강한 수증기(H2O)가 반복해서 닿으면 안에 포함된 지르코늄이 산소와 결합한다(산화). 이 과정에서 물에 있던 수소 원자가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07
분열
시켜 보기로 했다. siRNA를 뿌려 p21의 기능을 망가뜨렸더니 세포는 다시 왕성하게
분열
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역분화를 도와주는 화학물질인 ‘리버신(reversine)’과 지방세포로 변하게 하는 신호 물질을 넣었더니 7일 뒤 지방세포가 됐다. 넣는 신호물질에 따라 근육세포가 되기도 하고 뼈세포로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발생하는 열은 물을 수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발전기를 돌려서 전기를 만든단다. 핵
분열
이 일어나는 연료봉은 작동을 멈춰도 엄청난 열을 가지고 있어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계속 냉각수를 넣어서 식혀 줘야 하지. 하지만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는 지진과 쓰나미로 전기가 끊어져 냉각수 공급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