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다름
차이
d라이브러리
"
상이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06
중으로 나올 때 또 한번 꺾인다. 이처럼 물방울을 통과한 빛은 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상이
일그러져 보인다.그렇다면 굴절률이 같은 두 물체는 우리 눈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얘기일까? 그렇다. 물속에 있는 물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할 수 없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같은 ... ...
오빠, 사랑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
있다고 대답했대. 10명 중 8, 9명은 연예인을 좋아한다는 거지. 특히 여학생은 10명중 9명이
상이
‘오빠·언니사랑’에푹빠져있었어(95.9%). 남학생은그보다조금덜한78.7%. 그래도 많지? 초등학생들이 연예인을 좋아하는 이유가 뭘까? 많은 친구들이 노래나 춤, 연기를 잘하고 얼굴이 잘 생겨서 연예인을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05
대규모 환자 집단(약 1000명)을 대상으로 부작용을 세세히 테스트하는 과정이 임상 3
상이
다 임상 4상은 약물을 시판한 뒤에 약물복용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약효(부작용)를 찾는 시험을 일컫는다지구 공전궤도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전축이 팽이처럼 뒤뚱거리며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04
밝아진다(03). 이때 렌즈별 주위에 있는 행성이 분리된 상의 시선방향에 우연히 놓이면
상이
또 한번 분리되고 갑자기 밝기에 변화가 생긴다(04). 배경별의 시선에서 렌즈별이 완전히 벗어나면 배경별의 상은 원래의 모습을 찾는다(05).2005년 5월 ‘마이크로펀’ 그룹이 우리 은하 중심 방향인 궁수자리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04
렌즈라도 물체나 광원이 주축(主軸)위에 없고 렌즈에 대해 빛이 비스듬히 들어갈 경우는
상이
또렷하게 맺히지 않고 꼬리를 가진 혜성처럼 보인다 이를 코마수차 또는 혜성수차라 부른다일본 통산성이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절약기술개발 계획 고능률 가스터빈(78∼87년), 연료전지(80∼90년) ... ...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704
com) 홈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금
상이
건호(일반)-장미성운지구에서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5200광년 떨어져 있는 발광성운으로 붉은 장미를 닮았다. 강원도 횡성군에서 10일간 모두 10시간 50분의 노출시간을 들여 찍은 작품이다.은 상김기환(일반)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못 본다?우린 눈을 통해 세상을 보지? 우리가 물체를 본다는 건, 빛으로 들어온 물체의
상이
우리 눈의 망막에 맺히고 이 정보가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그 물체를 알아차리는 걸 뜻해. 이 때 망막에서 빛을 느끼는 간상체와 추상체라는 시각세포가 물체를 알아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 ... ...
건강한 눈, 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5
누워서 보는 것은 좋지 않답니다.골고루 먹자!편식으로 인해 영양이 부족하면 시력에 이
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눈에 좋은 비타민이 많은 야채나 과일, 단백질이 많은 콩이나 두부와 생선, 무기질이 풍부한 호두와 잣등 모든 식품을 골고루 먹도록 하세요.눈을 비비지 말자!알레르기가 있거나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4
무척 많답니다. 애니메이션은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대
상이
니까요‘내가 바로 애니메이션의 원조야!’ 셀 애니메이션가장 많이 만들어졌고 친숙한 애니메이션. 우리가 텔레비전에서 보고 있는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이 셀 애니메이션이다. 셀룰로이드(셀)라는 플라스틱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3
반사망원경갈릴레이가 발명한 굴절망원경에는 빛의 색깔마다 굴절하는 정도가 달라
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뉴턴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빛을 굴절시키지 않는 망원경을 연구하였다. 뉴턴은 빛의 반사를 이용한 망원경을 생각하고, 청동을 갈아만든 2.5센티미터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