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자
씨앗
님
선생
위도
자손
뿌리
d라이브러리
"
씨
"(으)로 총 1,285건 검색되었습니다.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07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경찰에게 쫓기던 유병언
씨
의 행적이 묘연해진 건 작년 5월 25일이었다. 5월 29일, 유
씨
로 추정되는 인물이 CCTV에 ... 사체감정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법곤충 연구를 최근에야 시작했다. 유
씨
와 같은 사례가 또 생긴다면, 그땐 법곤충학이 제대로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
수학동아
l
201505
능동적으로 증명을 익히고 끝맺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 자유로운 토론으로 생각의
씨
를 뿌리다교실 책상 위에는 두꺼운 책 두 권이 놓여 있었다. 유키 히로시의 과 윌리엄 던햄의 였다. 속을 들춰보니 수열, 대수 같은 쉽지 않은 단어가 눈에 들어왔다. 큐이디 회원에게는 ... ...
[Knowledge] 당신도 전설이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505
것은 방망이를 갖다 대더라도 안타를 만들지 못하면 결국은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다. C
씨
는 이 두 가지를 고려해 인플레이된 타구 타율(BABIP)로 비더레 타자를 선택한다. BABIP은 타자가 친 공 중 안타로 연결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지난해 인플레이 상황에서 안타를 가장 잘 만들어낸 타자는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
과학동아
l
201504
연습을 한 아이들이 나중에 진짜 과학자가 됐을 때 성공할 수 있을 거라고 봐요.”이
씨
는 과고드립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누군가 EXID드립을 보고 ‘파울리의 배타원리’가 뭔지 궁금해서 찾아본다면 그것도 나름 의미 있는 일 아닐까요?” 드립 |애드리브의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4
공을 찢거나 구멍 내지 않고 안과 밖을 완벽하게 뒤집을 수 있을까?만약 양말이었다면 구멍을 통해 안쪽 면을 바깥으로 잡아당겨 쉽게 뒤집었을 것이다. 하지만 구를 뒤집는 일은 이론으로만 가능한 일이다. 수학자들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수십 년 동안 고민했다. 답을 내놓은 사람은 프랑스의 ... ...
[수학뉴스] 나비의 입에도 황금비율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04
비율을 ‘황금비율’이라고 하지요. 자연에서는 소용돌이처럼 배열된 해바라기
씨
, 안쪽으로 말려 있는 달팽이집 등에서 황금비율을 찾아볼 수 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나비 주둥이에서도 황금비율을 찾았다고 합니다.미국 켄트주립대 매튜 레너트 박사팀은 네발나비과 4종과 ... ...
[과학뉴스] 청계천 수력으로 ‘스마트폰 충전’을?
과학동아
l
201504
발전기를 런칭할 계획이란다. 누구보다 바쁘게 살고 있는 이노마드의 대표, 박혜린
씨
(30)를 e메일 인터뷰했다.Q 어떻게 도심하천에 충전소를 만들 생각을?A 회사를 차리기 전엔 일반 기업에서 조류발전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그때부터 에너지 문제에 관심이 많았죠. 대형 발전소를 건설하는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수학동아
l
201504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 발표한 단편 소설 (이하 지킬 박사와 하이드)이다. 스티븐슨은 해적이 남긴 보물의 찾아 떠나는 소년의 모험담인 의 작가로도 유명하다. 은 나 같은 ‘해적물’의 ... ...
3화 미꾸라지의 수열
수학동아
l
201503
자기소개가 이어졌다.“반갑구나. 내 이름은 이미 알고 있지? 평소엔 그냥 편하게 아저
씨
라고 부르렴. 앞으로 궁금하거나 불편한 일 있으면 나한테 꼭 말해 주렴.”“안녕, 찬이야~. 내 이름은 이순실이야. 그냥 순실이 누나라고 불러줬으면 좋겠구나! 호호호. 벌써 붉은 벽의 비밀도 알아냈다면서! ... ...
[과학뉴스] 11.4cm 장수하늘소 표본 보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503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 전인 1968년 이전에 수집해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보관해 왔다. 홍
씨
는 장수하늘소의 유충, 세계에서 가장 큰 딱정벌레인 타이탄하늘소, 국내에서 멸종한 주홍길앞잡이 등 다른 희귀 표본도 기증했다.표본은 이후 ‘장수하늘소 및 희귀 곤충 특별전’을 통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