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벌레
어린벌레
구더기
유생
d라이브러리
"
유충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 ♂ , 왜 같은 비율로 태어나나?
과학동아
l
199203
곤충의 성비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기생벌의 생활사는 간단하다. 암컷은 다른 곤충의
유충
과 번데기를 숙주(宿主)로 삼아 그 몸에 알을 낳는다. 새끼는 숙주의 체내에서 자란 다음 나온다. 벌과 개미의 종류에서는 수정란은 모두가 암컷이 되고, 미수정란은 모두 수컷이 되는 성결정방식이다. ... ...
바퀴벌레, 눈에 띈 마리수의 16배
과학동아
l
199203
높았던
유충
20마리 그룹에서 평균 1.7마리가 나왔다. 가장 활동력이 떨어진 그룹은
유충
50마리 그룹으로 평균 3.2마리가 먹이장소를 찾았다.바퀴벌레의 수를 10마리에서 1백마리까지 다단계로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도 이 범위내에서의 수치를 얻었다. 결국 실제로 인간이 바퀴벌레를 발견한 수의 1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01
집까지 안내하는 것이다. 벌집안내새는 라텔이 파헤쳐놓은 꿀벌의 집에서 흘러 나오는
유충
을 먹는다. 대신 라텔은 꿀을 먹는다. 벌집안내새는 다른 새보다 피부가 두꺼운 벌의 침세례를 막을 수 있다.(4) ② 코알라는 일생의 대부분을 나무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거의 물을 먹지 않는다. 단지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11
힘만으로는
유충
을 기르지 못하므로 다른 개미집에 침입, 다른 일개미의 도움을 받아
유충
을 기르고 마침내 그 집을 차지해 버린다. (4) ②개미가 제일 무서워하는 천적은 구멍파기 선수인 개미귀신(개미지옥)이다. 개미귀신은 모래땅에서 몸을 나선형으로 움직여 깔때기 모양의 구멍을 판다. 그들은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10
천적도 있다. 기생봉이 그 좋은 예다. 기생봉은 진딧물의 몸에 알을 산란하는데 그
유충
은 진딧물 체내조직의 영양분을 활용해 성장한다. 그후 진딧물이 거의 죽을 무렵에 그 체벽을 물어뜯고 우화(羽化)해 나온다.이때 생긴 진딧물의 사해(死骸)를 '미이라'라고 부르는데 몇년간 그 형태로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10
일종인 등에가 초가을에 노루의 피하(皮下)에다 알을 낳는데 겨울에 기온이 높아지면 그
유충
(幼蟲)이 활발히 움직이기 때문에 노루는 가려움을 견디지 못해 음지를 찾게 되는 것이다.국내산 노루는 10월에 높은 산으로 올라갔다가 12월 쯤에 먹을 것이 떨어지면 다시 저지대인 야산으로 내려온다.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09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하루살이의
유충
은 7쌍의 아가미를 가지고 물속에서 생활한다. 이
유충
은 어류 양서류 다른 수생곤충의 중요한 먹이가 되므로 성충이 되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4 ①체내에 발전기관을 지닌 물고기를 전기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전기뱀장어 전기메기 전기미꾸라지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가장 흔한 것이 지렁이 땅강아지 장구벌레 방구벌레 등의 애벌레와 굼벵이류(매미의
유충
)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계속되는 농약살포와 화학비료들로 인해 땅을 파도 거의 벌레를 볼 수 없다. 근년에 와서 김을 매는 인력이 부족해져 제초제를 많이 쓰기 때문에 토양오염은 특히 심하다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11
성충이 이른 봄철 논으로 날아가 벼의 물속 잎짚속에다 알을 넣으면 알에서 깨어난 어린
유충
은 바로 뿌리로 내려가는 것이다.물속 뿌리틈새에 박힌 이 해충의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농약은 비교적 독성이 높은 침투성농약(카보푸란 등)이며 특히 초기단계의 분포확대를 저지하기 위해 다량의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11
앉아서 빛을 내고 있다. 어떤 것은 1초에 30회 이상이나 반짝거리는 놈도 있다.반딧벌레의
유충
은 물속에서 자라고 번데기가 될 때 육지로 올라온다. 이들은 주로 물가에서 산다. 대부분의 반딧벌레는 초식성이지만 육식성도 있다. 육식성 반딧벌레의 암놈은 빛으로 다른 종류의 수놈 반딧벌레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