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2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06
- 2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스파이앱은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 받을 수 있다).*스미싱(smishing) 돌잔치 초대장이나 모바일 청접장과 같은 문자메시지 속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저절로 스파이앱이 깔리게 해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수법이다.*파밍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6
- 대체할 뿐 혈액응고인자와 혈소판이 하는 지혈작용은 할 수 없다. 인공혈액은 1200mL 이하의 출혈이 있을 때 응급 치료에만 이용될 전망이다.전자 의수근육에 흐르는 전기 신호(표면 근전도)로 사용자의 의도를 알아내 로봇 손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2007년에 나온 영국 스코틀랜드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05
- 못했다. [정규 소수★ 에른스트 쿠머는 소수를 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나눴다. 100 이하의 소수 중 37, 59,67만 빼고는 모두 정규 소수다.]1957년 일본인 수학자 타니야마 유타카와 시무라 고로는 ‘모든 타원방정식은 모듈 형태와 하나씩 대응되는 관계다’라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을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넓다”고 말했다. 그는 또 “수중음향센서를 이용하면 해상지진계와 비교해 10분의 1 이하의 노력으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빙하 깨지는 소리로 해수면 변화 예측한다극지에서는 빙하와 빙산이 내는 소리가 자주 포착된다. 독일 브레맨대 해양환경과학센터 미카엘 슐츠 ... ...
-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2014년 교육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 1학년은 4분의 1, 4학년은 절반 정도가 시력 0.7 이하인 시력이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시력이란 물건을 눈으로 보고 똑똑히 분간할 수 있는 능력이에요. 보통 태어난 지 6개월 된 아기의 시력은 0.2예요. 그러다 3살이 되면 0.4의 시력을 갖추고, 6살이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05
- 공언한 지 만 8년 만에 성공한 것이다. 인간의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첫 생명체, JCVI-Syn3.0(이하 Syn3.0)은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유전자를 전자회로처럼 설계한다Syn3.0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탄생 배경을 먼저 알아야 한다. Syn3.0을 제작한 벤터 박사는 처음부터 합성생물학에 관심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05
- 생물학적 결합을 이용해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센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에서는 특정 화학반응에 필요한 효소를 찾기 위한 바이오센서를 개발 중이다.효소의 최종산물에 의해 활성화되는 유전자와 녹색형광단백질(GFP) 유전자를 합성하면 이같은 바이오센서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05
- 교수와 지난해 아이젬에 참가했던 세 명의 학부생과 이야기를 나눠봤다. 최지원 기자(이하 지원) 현재 국내에서 아이젬에 참가하는 팀은 고려대의 ‘코리아유서울(Korea U Seoul)’이 유일하다.최인걸 교수(이하 인걸) 초반에는 충북대와 KAIST 팀도 있었는데 지금은 우리학교만 참여하고 있다. 해를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05
- 과학을 발전시킨다. 이런 실험은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진행 중이다.게다가 아르바이트(이하 알바)를 하며 돈을 벌 수 있단다. 팔도를 누비는 장돌뱅이의 심정으로 전국을 누비며 이상한 실험실에서 알바를 직접 해봤다. 단순한 재미를 넘어, 그곳에는 진짜 과학이 있었다.대학병원은 알바 괴담의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05
- 이유로 신 책임연구원이 속한 공공연구노조 항우연지부는 2010년 비정규직 사용을 20% 이하로 제한하는 단체협약을 체결했다.더 큰 문제는 한창 창의성을 발휘할 젊은 과학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를 할 수 없다는 점이다. K박사(물리학분야 연구교수)는 유행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을 꼬집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