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시
심야
밤중
한밤중
한밤
미드나이트
자방
d라이브러리
"
자정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08
하강기류가 생겨 먼지층의 높이가 낮아져 빛의 영향이 어느 정도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자정
이 지나서는 많은 양의 인공조명이 꺼지기 때문이다.광공해 차단 필터광공해를 일으키는 대다수의 불빛은 가로등이나 기타 공공시설물에 흔히 쓰이는 수은등과 나트륨등이다. 이 램프들은 다행히도(?)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05
초저녁달로서 해가 진 후 서편 하늘에 잠시 걸려있다가 곧 져야 한다.둘째 금성 역시
자정
이 막 지난 시각에 보 일 수 없다는 것이다. 내행성은 공전 궤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언제나 태양 근처에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성과 금성은 새벽 아니면 저녁에 밖에 볼 수 없다. 초승달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04
북쪽에서 진다.( )7. 만일 달의 공전 주기가 3일이라면 달은 서쪽에서 뜬다.( )8. 상현달은
자정
쯤 진다.( )9. 그믐달은 보이지는 않지만 정오쯤 진다.( )10. 서기 2000년은 그레고리력으로 윤년이다.( )11. 서기 2000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윤년이다.( )(해답)1. 0 2. 0 3. 0 4. X 5. X 6. X 7. X 8.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뜬다.( )11. 춘분점은 매일 약 4분씩 늦게 뜬다.( )12. 3월 15일
자정
에 남중했던 별은 3월 30일
자정
에는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약 15˚ 치우쳐 있다.( )13. 3월 30일 저녁의 (문제12) 별은 3월 15일 저녁보다 약 15분 정도 일찍 뜬다.( )14. 태양은 매일 약 4분씩 일찍 뜬다.( )익힘문제 해답 1 ...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03
결코 재생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와 오줌과 같은 폐기물들은 화학적으로
자정
됐으나 재순환되는 경우는 없었다. 반면 자연생물권 곧 지구에서는 생물학적 재생과정이 반복되고 있다. 자연계의 식물 동물 미생물들이 생명에 필수적인 것들을 실제로 재생하고 재순환하며 조절한다.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옮겨간다. 20일 금성에 가장 근접한다.목성-2등급이며 사자자리에 있다. 29일에 충(
자정
에 정남쪽에 보이는 때)이며, 이때 지구까지의 거리는 2백96억6천km다.토성염소자리에 있으며 중순경 새벽하늘에 나타난다. 29일에 금성 곁을 지난다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01
글에서 천문학적으로 틀린 곳 다섯 군데를 모두 찾아내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자정
이 막 지난 초여름밤, 창백한 초승달 옆에는 금성이 찬란히 빛나고 있다. 오리온 자리에 빛나는 저 밝고 붉은 별은 아마도 목성이리라······중고등학교 천문학 수업을 제대로 마친 학생이라면 위의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11
하며 상당수는 긴 꼬리를 남긴다. 사자자리가 떠오르는 사간이 늦기 때문에 관측자들은
자정
이 넘어야만이 이 유성군을 볼 수 있다. 사자자리 유성군은 33년의 주기를 가진 템펠-튜틀(Tempel-Tuttle)혜성과 관련이 있다. 속도는 보통이며 한시간당 열개 남짓한 유성이 보인다. 그러나 33년을 주기로 템펠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10
유명한 헬리혜성을 모혜성으로 가진다. 오리온자리 유성우의 복사점은 고도가 낮아서
자정
이후에야 그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있다. 21일 복사점이 정남쪽에 오는 시간은 새벽4시30분 경이다.바람이 서늘해지고 사람들 가슴 속에 가을이 느껴지기 시작하면서 밤하늘의 모습도 여름의 화려한 축제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08
이 유성군의 정확한 복사점은 감마(γ)별 근처이기 때문에 이 별이 하늘 높이 올라오는
자정
이후에야 환상적인 유성우를 구경할 수 있다. 새벽이 가까와지면서 복사점은 더 높이 올라가고 유성우의 양은 점차 많아지게 된다. 이 유성군의 유성들은 한마디로 장관 그 자체다. 그들은 매우 밝으며 종종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