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애자
장해인
장해자
장애우
불구자
심신장애자
정신장애자
d라이브러리
"
장애인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자 메시지 촉감으로 이해한다
과학동아
l
200405
사람들 사이에 오가는 대부분의 정보는 소리나 이미지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제 손가락의 촉감도 한몫할지 모른다. 독일 본대의 신경과 ... 하나의 감각 단위로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다” 라고 설명했다. 또한 시각
장애인
이나 청각
장애인
을 위한 정보전달 수단이 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04
입는 로봇의 수요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AL을 개발한 산카이 교수는 “이미
장애인
용 로봇팔의 개발에 착수했으며 궁극적으로 옷 안에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를 얇게 만들어 실제 손과 별 차이가 없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로봇기술이 무쇠팔, 무쇠주먹을 갖춘 군인을 탄생시킬지,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02
영역은 복지 분야에서다. 그 핵심에 유비쿼터스 배지, 즉 u-배지가 있다. 치매노인,
장애인
들에게 각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 신상정보가 담긴 배지를 나눠주고 이들이 길을 잃거나 위험에 빠지는 일을 멀리서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위험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다.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01
카레스(KARES) Ⅱ의 개발을 완료했다. 카레스Ⅱ는 식사보조나 면도하기. 얼굴 닦기 등
장애인
과 노약자들에게 필요한 집안일을 하는 바퀴달린 로봇팔과 전동 휠체어로 이뤄져 있다. 사용자는 휠체어에 앉아 눈동자나 고개 움직임에 따라 조정되는 아이마우스로 컴퓨터의 화면의 커서를 움직여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12
위해서는 강아지 때 엄선돼 특별한 훈련 과정을 거친다. 맹도견은 어떤 상황에서도 시각
장애인
을 위급한 상황에 혼자 남겨놓고 독자적으로 활동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상당한 자제력이 있어야 한다. 때때로 셰퍼드를 활용하기도 하지만 사람과의 친화력이 뛰어나면서 점잖은 레트리버가 주로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11
측면에서 편리한 점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촉감정보전달 시스템은 단순히 시각
장애인
을 위한 보조 시스템이 아니라, 시각과 청각 위주의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즉 컴퓨터 화면에 있는 물체들을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놀랍게도 그 물체의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09
전자공학에서는 과거 어느 때보다 생체적합성 소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
에게 인공적으로 시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해주는 인공망막이 그렇다. 현재는 눈에 이식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전기시스템을 만드는데 무기물이 이용된다. 하지만 무기물은 인체 내 단백질과 같은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09
장갑을 개발중이며 2005년에는 성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한편 이번 성과는 청각
장애인
의 의사소통외에 다양한 용도로 쓰일 예정이다. 전투시 군인들이 조용하게 명령을 주고받는데 쓰이며, 비영어권의 부모가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데도 쓰일 전망이다. 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07
MIT와 하버드대의 연구자들은 손상된 망막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망막장치를 개발해 시각
장애인
을 대상으로 이식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바퀴벌레의 신경에 전극을 연결해 컴퓨터로 조종하는 실험이 성공한 바 있다. 이처럼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과 소형 정보기기가 결합하면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
과학동아
l
200305
자살, 폭력과 같은 충동적인 행동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같은 충동
장애인
병적도박도 세로토닌의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마운틴 시나이 병원 데카리아 박사 연구팀은 1996년 ‘임상정신의학저널’에서 병적도박 환자의 경우 세로토닌의 기능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