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지
중절
정지
종결
미결
인터럽트
방해
d라이브러리
"
중단
"(으)로 총 7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04
중성자를 흡수하는 ‘제어봉’을 연료봉 사이에 집어넣으면 중성자가 사라져 핵분열이
중단
된다. 이렇게 핵분열이 멈추면 그 동안 핵분열을 하는 과정에서 생긴 방사성 물질이 안정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방사선 에너지, 즉 붕괴열(잔열, decay heat)이 발생한다. 따라서 운전을 멈춰도 평상시의 8%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04
사이의 교전으로 캄보디아는 준전시 상황에 처해 있었다. 봉사단은 과학나눔 행사를
중단
할까를 고민했지만 “학생들과의 약속을 어길 순 없다”며 캄보디아로 향했다.이번 봉사단에 선정된 고려대 학생은 총 17명. ‘교육봉사’라는 큰 틀만 갖춰진 상태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교육프로그램의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01
조언한다. 그리고 “일단 항생제를 쓰면 병원균을 모두 사멸할 때까지 사용해야지,
중단
하거나 너무 적은 양을 복용하면 남아 있는 균들에 의해 내성이 생긴다”고 말했다.병원에서는 수술기구를 소독하고 손을 씻는 등 위생관리에 철저해야한다. 일본의 한 병원에서만 9명이 다제내성균에 감염돼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
과학동아
l
201101
실험장비가 부족해 포기했다. 다행히도 4년이 지나 선박저항성능 연구실에 발을 들이며
중단
했던 연구를 다시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우리 연구실은 국내에서 유체, 유동 연구에 관한한 가장 실력있는 곳이다. 지도교수인 이신형 교수는 유체분야의 유동가시화 기법을 전공한 국내 정상급 전문가로서 ... ...
꼬마 우주왕복선 시험비행 성공
과학동아
l
201101
미국 공군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공동으로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로 이착륙하고 우주 공간에 장기간 머무르며 임무까지 수행할 수 ... 1989년 구 소련이 개발해 이착륙 시험비행에 성공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개발이
중단
돼 현재는 X-37B가 유일한 무인 우주왕복선으로 알려져 있다 ... ...
천리안 위성, 우주로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4
문제가 생기면서 발사 47분 전에
중단
되었어요. 그 다음 날도 같은 이유로 발사 17초 전에
중단
되었답니다. 결국 두 번의 발사 시도로 다 써버린 발사체 연료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6월 26일 오후 6시 41분에 발사하기로 결정했지요. 드디어 6월 26일. 아침부터 발사통제센터에 들어가 천리안 위성의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12
남아 있다. 14명의 소중한 생명을 잃은 충격에 NASA는 한동안 모든 우주수송시스템(STS)을
중단
했다. 하지만 이대로 모든 것을 그만 둘 수는 없었다. 무엇보다 나는 우주를 향한 사람들의 꿈을 이뤄주고 싶었다. 다시 그 꿈을 이루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챌린저호 이후 미션이 재개된 것은 97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12
건드렸기 때문이다. 한 학부모 단체는 아이들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준다며 신문에 방송
중단
호소문을 싣기도 했다. 물론 이제는 우리 사회도 이런 문제를 포용할 만큼 성숙했다는 의견도 있었다.사실 동성애 문제는 오랜 역사에 걸쳐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심각한 범죄로 취급됐다. 중세유럽에서는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
수학동아
l
201012
이 규칙이 엄격하게 적용되다 보니 네트에 조금만 스치거나 손이 살짝 넘어가도 경기가
중단
돼 관중이 흥미를 잃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런 이유로 고의성 없이 네트 아래쪽을 건드리거나 상대방의 공격을 막기 위해 손이 네트를 넘는 경우는 반칙이 아닌 것으로 바뀌었다.최근 배구가 25점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11
암호 해독에 집착하며 환각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후 정신분열증으로 그의 연구는
중단
되었고, 만 40세를 넘겨 필즈 메달을 받을 기회를 영영 놓쳐야만 했다.하지만 내시는 거기서 인생을 포기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의 논문이 세상 밖으로 나온 시점을 보며 그는 이미 사라진 위인이라고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