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층
중복
중첩
계층
d라이브러리
"
켜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08
이라는 반사층이 바로 그것. 이곳에서는 동공으로 들어와 망막을 통과한 빛을 반사시
켜
망막으로 되돌려보낸다. 빛이 희미할 때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눈에 받아들였던 빛을 모아 한번 더 쏘아보내는 것이다. 이렇게 반사되는 빛 때문에 야행성 동물의 눈은 어둠 속에서 빛나보인다.야행성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07
다양한 주위 환경과 비교해 속도나 차간 거리를 측정한다. 그러나 터널 안에서는 등불이
켜
진 똑같은 벽이 계속 이어질 뿐이어서 속도나 차간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더구나 터널 안은 밤처럼 어두워 시각 정보를 얻기가 더욱 어렵다. 차간 거리를 측정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닥 차선도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07
앉은 관객에게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음 스피커를 맨위에 위치시
켜
야 소리가 좀더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다.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영화관은 이렇게 3가지로 음향을 분리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 대부분 고음과 저음의 2가지로 음향을 분리한다고 한다.스크린 뒤에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02
원리는 TV 내부에 설치된 CRT나 LCD가 일차 화면을 만들고 이 화면을 거울로 반사시
켜
큰 화면을 재현한다는 것이다. 부피와 무게는 다소 부담스럽지만 PDP의 절반도 되지 않는 가격으로 대화면의 생생함을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 3인방최초의 CRT가 탄생한지 1백 여년이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02
붙여서 화면을 만드는 장치가 TFT-LCD(Thin-Film 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다. 즉 각 화소가
켜
지고 꺼지는데 따라 정보가 표현되고, 이들 전체가 조화를 이뤄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패널을 살펴보면 두 유리판 사이에 액정이 약 4μm 두께로 채워져 있고, 한쪽의 유리판 위에 TFT와 ITO(투명전극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07
지난 1971년 무령왕릉에서 시꺼먼 널판자가 출토됐다. 무령왕과 왕비의 관을 이루고 있던 나무다. 11조각의 판자는 발굴 당시 별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이 나무판자 ... 있었다는 영광의 세월을 아는지 모르는지, 무엄하게 파헤쳐 전시되고 있는 대왕의 유물을 말없이 지
켜
보고 있다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06
장벽이 무너지던 날. 서독의 헬무트 콜 수상과 동독의 메지에르 수상은 전세계인이 지
켜
보는 가운데 통일 조약서에 서명했다. 이 역사적인 순간에 두 수상이 사용했던 펜이 바로 ‘몽블랑’(Montblanc)이다.기업의 최고 경영자나 국가의 수장들이 서명할 때면 어김없이 주머니에서 만년필을 뽑아든다.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05
빛을 정지시켰다고 말한다. 즉 빛의 상태가 원자에 기록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시 Ωc를
켜
면 Ωp가 물질로부터 방출되는 현상은 원자에 기록된 빛의 정보를 통해서 이뤄진다. 이를 다시 삼각관계의 연인에 비유해보자. 강력한 연적(Ωc)이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원자와 Ωp는 서로 좋은 관계가 유지될 ... ...
전자총 세례받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203
켤 때 바로 그 주위에 위치한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이 흔들린다. 또 헤어드라이어를
켜
진 상태의 TV 근처에서 작동시키면, 브라운관에 약간의 흔들림이나 흰 반점이 나타난다.정전기 때문에 치명타 입을 수도따라서 전자제품은 사람이나 다른 전자제품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안전한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02
성질 및 화학적 작용에 대해 흥미진진한 설명을 전개하고 있다.여러분들은 혹시 양초를
켜
놓고 유심히 그것을 관찰해본 경험이 있는가. 양초는 녹아서 심지에 불꽃을 피우는데, 액체 상태로 타는 것일까, 기체 상태로 타는 것일까. 양초의 심지는 왜 굵은 실로 꼬여 있을까. 또 그것의 역할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