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축"(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기 감시방법의 개선과학동아 l1989년 10호
- 핵무기(INF) 제한협정이후 최근에는 NATO와 바르샤바 양측이 무기뿐아니라 병력의 제한 감축을 논의하자 어떻게 하면 이것을 실효성있게 할수 있을까, 즉 감시체계의 개발이 중요한 문제로 떠 오르고 있다.현재 '에폭시'나 광섬유같은 새로운 재료와 위성과 전자장비, 방사능 측정기등으로 어느정도 ... ...
- 소련의 두개의 신성(神性) 레닌과 붉은 군대과학동아 l1989년 05호
- 위해서는 피할수 없는 위험한 선택을 한 것이다.그는 적군의 특권을 폐지하고 병력을 감축하고 있으며 주요 지휘관들을 교체하고 있다.1백만명의 인원을 줄이고 있으며 소련 역사상 처음으로 군사예산을 14% 줄였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군을 철수시켰다. 소련군의 철수는 복합적인 영향을 ... ...
-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과학동아 l1989년 01호
-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최근연구에 의하면 희망이 보인다. 2주마다 30분씩 감축, 수면시간이 6시간이 될 때까지 줄인 후에 다시 3주마다 30분씩 줄여나가면 수면시간을 4~5시간으로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수면시간을 줄인 후 1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고통없이 수면시간을 1시간~2.5시간 정도 ... ...
- 우주 오염과학동아 l1988년 12호
- 될 것이다.이러한 것에 대해서 우린 무얼하고 있는가 ? 발사하는 위성의 수를 대량 감축하거나, 발생 가능한 많은 폭발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할지도, 그리고 위성의 파괴를 일으키는 것과 관련된 모든 계획을 중지 할지도 모른다.그러나 그것은 위험의 증가를 감속 시킬뿐이지 위험을 ... ...
- 계획대로 된다면 1995년에 과학위성 발사과학동아 l1988년 11호
- 빠른 시일내에 국방기술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북한과의 긴장완화, 미군철수, 병력 감축시 야기될 수도 있는 안보력공백에 대한 대책으로도 가능하다는 얘기다.모든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1995년 무렵에는 1백~1백50kg의 과학위성을 실은 30t급의 발사체(로킷)가 국내의 발사장에서 ... ...
- 몸살 앓는 정부출연 연구소의 속사정과학동아 l1988년 09호
- 파업사태가 확대될 경우에는 정부의 연구활동예산체제를 전면 재조정, 출연액수의 감축과 연구기관의 기능축소 등을 적극 검토하고 대신 대학부설연구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정부의 강경방침이 천명된 이후 노조활동이 활발한 연구소에는 예산동결조치를 통해 ... ...
- 산림 남벌로 표토(表土) 씻겨나가과학동아 l1988년 09호
- 현재는 25%가량밖에 안된다는 것이다.필리핀은 세가지 국가적 과제로 빈곤추방, 외채감축, 삼림녹화를 내걸고 최근 벌채를 규제하는 법을 통과시키기도 했다.그러나 조밀한 인구분포를 가진데다가 인구증가율이 3.4%나 되는 나라에서 땅까지 메말라져 필리핀의 국가적 과제 해결에는 장구한 세월이 ... ...
- 핵무기의 미래 군축협상의 실상과학동아 l1988년 03호
- 45%를 차지하는 장거리미사일의 감축 즉 START이다. 현재 이 협상에선 장거리미사일의 50% 감축이 논의되고 있다.앞으로 START가 타결되기 위해선 검증기술의 확립이 선결돼야 한다는 지적의 소리가 높다. 이미 미·소는 이 분야에서 상당한 기술적 수준에 도달해있지만 START에는 이동성 미사일의 검증 등 ... ...
- 중거리 핵 폐기,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나과학동아 l1988년 03호
- 처음으로 핵전력의 실제적 감축을 가져올 INF 폐기협정에 따라 미·소의 중거리핵무기는 다음의 3단계를 거쳐 사정거리가 긴 것은 3년, 짧은 것은 18개월 이내에 폐기될 예정이다.□1단계 : 미·소는 서로 자국 미사일의 숫자, 배치위치, 수리 및 저장장소, 발사대의 수, 그리고 기타 기술적인 ...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이 협약의 주요 내용은 CFC의 소비를 86년 수준에서 동결하며 1999년까지 CFC의 소비량을 50% 감축시킨다는 것. 그러나 이 협약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하다. 비관론자는 이 협약이 '오존층을 보호하기보다는 화학물질의 국제무역을 보호하는 측면이 크다'고 꼬집는다. 또 어떤이들은 작년 ... ...
이전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