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기"(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인류가 지구에서 한껏 번성했을 때, 그 숫자는 100억에 가까웠어. 그리고 지금, 지구상에 생존한 인간은 고작 30만 명이라고.”나의 두 번째 파트너였던 마거릿 왓슨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은 서력 2300년 11월의 일이었다. 23세기의 마지막 해이자, 인간의 마지막 세기가 저물던 시기였다. “30만 ...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과학적인 근거는 전혀 없지만, 인간이 가장 출출함을 느낀다는 저녁 10시. 굶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을 켭니다. 매콤달달한 떡볶이가 한 접시에 1만 원, 그런데 배달비가 5000원입니다. 아참, 실수했습니다. 배달지를 집이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로 설정했나 봅니다.집에서 겨우 ... ...
- 우크라이나 우주전쟁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전쟁은 인류사에 비극을 남긴다. 하지만 과학기술 분야에 막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급진적인 변화를 불러오기도 한다. 전쟁은 그간 공개되지 않았거나 앞으로 수~수십년 후 상용화될 기술을 미리 엿보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실제 민간 기업을 필두로 한 우주기업의 기술은 전쟁의 판도를 바꿀 결정 ... ...
- [논문탐독] 식중독 세균 vs. 장내 공생 세균 장 속에서 벌어지는 전쟁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날씨가 따뜻해지면 식중독을 조심하라는 소식이 들려오곤 합니다. 식중독은 바이러스나 세균(박테리아)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해 복통이나 설사, 발열, 구토, 오한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입니다. 음식을 통해 질병에 감염되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심할 경우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합 ... ...
- 꿀벌을 구해라, 도시양봉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스카우트 빌딩 꼭대기 옥상정원에는 10만 마리의 꿀벌이 살고 있다. 이들은 드넓은 자연 대신 빌딩숲 사이를 거닐며 살아간다. 버스 정류장의 화단, 가로수에 만개한 벚꽃, 곳곳에 조성된 공원이 벌들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벌들은 다시 생태계의 번식을 돕는다. 도시양봉 ...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사람들에게 IT 계열 종사자의 이미지란 어떤 걸까. 보편적이며 총체적인 인상 말이다. 눈을 감고 프로그램과 씨름 중인 30대 개발자의 모습을 한번 떠올려 보자. 그를 그저 A라 불러도 무방하겠다. 우선 A의 골격을 그려 보자. 근육이라고는 없는 팔다리, 굽은 등, 거북목. A의 행색은 어떨까. 7년 된 ... ...
- [기획] 데이터 분석으로 꿀벌을 구하라!수학동아 l2022년 05호
- 꿀벌이 사라지는 일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야.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면서 세계 곳곳에서 꿀벌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 구출작전 1 AI로 기생충과 말벌 발견! 꿀벌을 위협하는 가장 큰 이유 바로아응애! 유럽에서도 바로아응애는 양봉을 방해하 ... ...
- [특집] 위기의 원인은 공급, 수요, 배분과학동아 l2022년 05호
-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공급 위기가 찾아왔다. 동시에 식량 수요도 늘고 있다. 또한 곡물을 산업자원으로도 활용하면서 한정된 식량을 두고 경쟁이 시작됐다. 최근에는 불평등한 식량 배분이 식량 위기의 가장 큰 이유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에게 닥친 식량 문제의 원인을 공급과 수요 ... ...
- 완치자는 아직 시달리고 있지만… 코로나19 후유증 특별한 건 아니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끊이지 않는 마른 기침, 극도의 피로감, 잦은 두통, 무기력함.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앓은 사람들이 호소하는 후유증이다.분명 감기와 비슷하다고 했다. 심지어 처방약도 감기약과 다르지 않았다.그러나 완치 판정을 받은 뒤에도 고통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다수였다. 2년 동안 ... ...
- [인터뷰] "남극이라는 흰 도화지에 그림을 그립니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남극은 과학자들에게 흰 도화지 같은 곳이에요.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듯 각자 다양한 가능성을 만들 수 있는 곳입니다.” 지구의 양끝, 얼음의 땅과 바다에서 누구보다 심장이 뛰었던 과학자가 있다. 여성 최초로 극지연구소의 선봉장이 돼 국내 최초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운영하며, 남극 장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