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달려있어 생체음향을 측정한 뒤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 전기신호가 개인의 고유 식별 데이터가 된다. 안 책임연구원은 “소리라는 자극을 준 뒤 몸에서 전달되면서 생기는 소리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점에서는 병원의 초음파 검사와 원리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5만6000여 건의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없다.물질마다 활용할 수 있는 파장 범위는 왜 정해져 있는 것일까. 그 이유는 물질마다 고유의 에너지 밴드(energy band)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를 예로 들자면, 실리콘 태양전지로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빛에너지를 받았을 때 실리콘 내부의 전자가 이동해야 한다. 그런데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뼛속까지 새겨지는 수학공부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이길 수는 없지 않겠어요? 그럼 어디에서 인간의 가치를 찾을 수 있을까요?저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은 여러 분야를 ‘연결시키는 것’이라고 봅니다. 아무리 천재라고 해도 수많은 분야의 지식을 깊이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 분야의 개념을 정확하게 알면, 서로 연결시키는 건 가능하죠. 하나의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수 있는 모든 색, 즉 가시광선은 380~700nm의 파장을 갖는 빛이며, 각각의 색은 이 사이에서 고유의 파장을 갖고 있다. 가령 삼원색의 정확한 파장은 1931년 빛과 조명에 관한 과학기술을 논의하는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빨간색은 700nm, 초록색은 546.1nm, 파란색은 435.8nm로 정해놨다.다만 현재 디스플레이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정착했다. 이 긴 역사의 과정에서 유전적으로 집단이 분화하는 과정을 거쳐 각 집단마다 고유의 유전적 특성을 형성한 결과 다양한 조상 집단을 가지게 됐다. 이는 지금까지는 단순히 ‘아시아인’이라는 하나의 집단으로 정의됐던 사람들이 사실은 10가지가 넘는 이름을 가져야 마땅하다는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전자 에너지 변동폭을 갖고 있다.그런데 입자의 크기가 nm 단위로 작아지면 물질이 고유하게 갖고 있던 전자 에너지 변동폭에 변화가 생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7nm)는 변동폭이 작고, 작은 입자(2nm)는 변동폭이 커지는 것이다. 변동폭이 크다는 것은 외부에서 에너지가 들어왔을 때 전자가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불균형을 설명할 단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반물질 중 하나인 반양성자의 스핀(입자 고유의 각운동량)은 자기장 내에서 세차운동을 하는데, 만일 이 반양성자가 액시온과 상호작용을 하면 세차운동의 주기가 변하게 된다. 연구팀은 페닝트랩이라는 특수한 장치를 고안해 이를 측정하고자 했다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여러 하드웨어에 올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똑같은 내가 여러 명이 되는 걸까요? 아무리 고유의 패턴이 존재한다고 해도 정체성이 변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겁니다. 정체성이란 자신의 몸에 대한 인식까지 포함하니까요. 하드웨어를 옮긴 직후에는 이전과 똑같을지 몰라도 새 하드웨어와 ...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론을 연구하는 피에트 판 미에그헴 교수가 이 방정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값인 ‘고유 벡터 항등원’을 이미 연구했다는 점입니다. 타오 교수의 연구 덕분에 알려지지 않았던 미에그햄 교수의 연구까지 재조명된 거죠.이번 연구 결과는 현재 학술지 출판을 위한 심사를 거치고 있습니다. ... ...
- [현장취재] 일일 과학자가 되어 연구 현장으로 풍덩! 민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우리나라 고유어종을 먹어치우진 않지만, 개체 수가 많아지면 플랑크톤이 줄어서 고유종들이 먹이를 빼앗기게 돼요.”안광국 교수님은 외래어종이 생태계를 어지럽힐 수 있어, 국가에서 이들의 확산과 분포를 어떻게 관리할지 중장기적인 연구를 실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어요.이날 강연 후에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