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곡
산골짜기
협곡
넓은 골짜기
골짜구니
분지
홈통
d라이브러리
"
골짜기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실리콘 밸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대학교가 있는 팔로알토(Palo Alto)로 부터 산호세 사이에 폭 16km, 길이 48km에 걸쳐 있는
골짜기
처럼 보이기도 하고 언덕과도 같은 도시의 집합이다. 도시 행정구역상으로는 산타클라라 카운티(Santa Clara County)라고 한다. 실리콘밸리는 팔로알토 마운틴뷰(Mt. View) 로스 알토스(Los Altos) 서니베일(Sann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많았습니다. 한 예로 야광나무라고 하는 것은 고향에서 '아광나무'라 불렀는데 가을이면
골짜기
에 빨간색으로 꽉 들어차곤 했지요. 남쪽에 살면서도 꼭 한번 보고싶었는데 여기와서 그 나무를 봤습니다.전영-저는 개인적으로 식충식물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2과5종을 조사했는데 ... ...
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있지만 절대로 눈을 돌리는 일은 없다. 그럴때 염소들은 절벽에서 태평한 모습으로 깊은
골짜기
를 내려다 보기도 한다.교미기에 보여주는 수컷끼리의 싸움질은 다른 동물의 경우와 매한가지다. 그런데 때때로 암컷끼리 한판 벌이기도 한다. 염소는 상대방을 뿔에 걸어서 멀리 던져버리는 기술이 ... ...
태양계 탐사 본격적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줄 수 있는 몇가지 사실들을 알려왔다. 금성을 돌면서 베네라는 표면 전체에 길게 연결된
골짜기
를 발견했다. 이들 주변의 바위를 조사한 결과, 금성의 토질이 화산에 의해 분출된 칼슘이 풍부한 화성암과 현무암을 상당 수준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과거에 활산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구간은 거의 3줄기의 물기둥이 되어 떨어진다. 폭포수가 떨어지는 우람한 폭음은 산
골짜기
를 진동시키고, 떨어지는 물은 희고 기다란 비단필을 드리운 듯 급경사인 화산암 계곡을 물거품으로 뒤덮으며 요란하고 도도하게 흘러내린다.장백폭포에서 온천들이 많다는 폭포 밑까지 우회하는 길은,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빨리 더워지므로
골짜기
에서 정상으로의 곡풍이, 밤에는 정상이 빨리 식어 정상에서
골짜기
로의 산풍이 분다. 햇빛이 강한 여름철에 곡풍이 강하지만, 겨울철에는 산풍이 더 강하다. 곡풍은 산등성이를 거슬러 올라가므로 적운형의 구름이 생기며 강수현상이 있기도 한다. 경사가 작은 지역에서는 ... ...
현장학습 경험 되살려 주입식 교육 탈피 노력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경사라도 학생들과 함께 측정해볼 생각입니다.대만의 지형 지질이 우리나라와는 달리
골짜기
가 깊고 산이 뾰족한 것은 생성시기가 다르기 때문일 것인데, 이러한 것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기뻤읍니다. 심정 : 저는 대만의 지형 지질도 관심을 가졌지만 사람들이 사는 모습도 주의깊게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신 '아폴론'의 손자인데 사냥의 명수였다. 사슴 사냥을 나간 어느 날, 그는 숲이 우거진
골짜기
를 찾아들게 되었다. 우연히 달과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사냥에서 돌아와 목욕을 하려고 님프(요정)들에게 머리를 묶게 하고 있는 장면을 엿보고 말았다.이것을 눈치챈 '아르테미스'는 화가 나서 ... ...
국민 10명중 1명 꼴 황달없는 간염이 더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1백℃에 10분만 끓이면 죽으므로 물은 반드시 끓여 먹는 것이 안전하다. 약수나 산
골짜기
물을 즐겨 마시는 것도 간염예방의 측면에서 보면 바람직하지 않다. 식기나 수저도 끓여 소독하며 바퀴벌레나 파리에 의한 오염을 막도록 주방이나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한 그릇의 국물을 여럿이 떠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약 2억년전부터 존재했었으나 모두 절멸됐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 사천성의 산
골짜기
에서 단 한그루 살아남은 은행나무가 발견돼 다시 전세계에 퍼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전세계의 은행나무는 중국 사천성 은행나무의 후손들인 셈이다. 은행나무는 독특한 생식방법으로도 유명하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