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찰"(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기껏해야 1cm 남짓인 유충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현미경 관찰로만 알아내긴 어렵다. 곽 교수는 “여기에 eDNA 모니터링이 추가된다면 깔따구 유충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흔적’만으로 존재 여부 알아내 높은 민감도가 강점 eDNA는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조기진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바이오이미징이란 세포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거나 확인하는 기술이다.과학자들이 세포를 몸에서 떼어내 현미경으로 볼 때 사용하는 것은 빛이다. 하지만 인체 내부는 빛이 거의 투과되지 않는다.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의 자기장은 인체를 일부 투과할 수 ... ...
-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난 5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포말하우트의 소행성대. 이전에 허블 우주 망원경과 ALMA●가 관측한 가장 바깥쪽 궤도에 있는 소행성대보다 안쪽 궤도에서 소행성대 ... 설명*ALMA :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 망원경 집합체. 총 66개의 전파 망원경이 우주를 관찰한다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항문 주름이 사람마다 천차만별로 다르게 생겼기 때문에, 카메라와 연결된 AI가 항문을 관찰해서 사람을 인식한다는 아이디어였다. 물론 반발이 심했다. 애초에 누가 용변 장면 촬영도 모자라, 항문 주름까지 보여주려 하겠는가? “사람들의 거부감이 심했고, 이에 대한 윤리적 문제도 제기됐죠. ... ...
- [DGISTX융복합 파트너] 경쟁상대가 아닌 협업의 도구 AI-인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부전공했습니다. 이런 경험은 개발한 컴퓨터 시스템을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는지 관찰할 때 도움이 됐죠. 학생들의 학습을 보조해주는 AI나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창출해주는 AI도 언젠가 꼭 연구하고 싶어요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최초로 살아 돌아온 쥐가 들고 온 단서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번이 처음이에요. 덕분에 연구팀은 출발 전과 귀환 후 쥐의 신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죠. 미국 포사이스연구소 스 원위안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우주 비행사의 뼛속 칼슘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골다골증과 같은 질환 치료의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구역의 낚시왕! 비결은 ‘편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관측한 영상을 활용하면 달 뒷면의 편광 지도를 만들 수 있어요. 지구에서는 달 뒷면을 관찰할 수 없어, 지금까지 망원경으로 달의 앞면만 편광 관측을 할 수 있었어요. 그런데 폴캠을 달고 있는 다누리는 달의 뒷면도 관측하기 때문에 달 뒷면의 편광 지도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답니다. #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등장합니다. 만약 최신 유행가를 썼다면 나이가 많은 참가자들의 뇌 활동 기록을 관찰하기 어려웠을 거예요. 클래식 음악은 보컬이 없고요.” 뇌가 가장 ‘음악 인지 활동’을 열심히 할 수 있는 음악으로 핑크 플로이드를 골랐다는 뜻이다. 광범위한 뇌파 자료를 측정한 뒤에는 인공지능(AI) 모델을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대, 백색 또는 황록색의 관공이 특징입니다. 대의 윗부분에 나 있는 그물 무늬를 관찰해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죠. 그물버섯류에는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는 버섯이 거의 없을뿐더러, 그물버섯아재비처럼 정말 맛있는 버섯들이 많습니다. 그물버섯류만의 탱글탱글하면서도 보드라운 식감은 먹어본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생물을 단순히 보는 게 아니라고 설명했어요. “탐사대원들이 하는 시민과학은 자세히 관찰하고, 살피며 그 생물의 생태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지요. 김정 편집장은 “대원들이 다양한 탐사 데이터를 올려준 덕분에 과학 논문 4편이 출간됐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