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역"(으)로 총 689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지름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구멍을 만들면, 막을 중심으로 두 개의 구역이 생긴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들은 나노 구멍 양쪽에 전압을 걸고 구멍 속으로 DNA 염기서열을 통과시키면 통과하는 염기에 따라 전기신호가 달라지는 현상을 활용했다. 전기신호의 차이를 컴퓨터로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된 단단한 다년생 해빙이 있는 구역과 그 해에 새로 언 초년생 해빙 구역, 해빙이 없는 구역을 정확하게 가려냈다. 최근에는 아리랑 5호로 해빙의 이동을 추적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과거에는 인공위성의 해상도가 낮아 소규모 해빙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어 해빙 분포를 통계적으로 추정했다. ...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쪽에는 없어지지 않은 한 개의 카드만 남게 돼. 이제 좀 감이 오니? 양쪽으로 나눠진 두 구역은 좌변과 우변을 의미하고, 상자는 미지수의 역할을 하는 거야. 다른 쪽에 남겨진 카드 하나는 방정식의 해가 되는 거지. 단계가 올라가면 이 카드들이 x, y, a, l과 같은 문자로 바뀌어. 하지만 이미 이전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일 오 교수는 라이브 강연에서 로봇이 모든 일을 하는 구역과 오롯이 사람만이 작업하는 구역이 나뉘어진 자동차 공장을 동영상으로 보여줬습니다. 오 교수는 “로봇이 잘하는 일과 사람이 잘하는 일이 구분돼 있다”며 “사람에게는 굉장히 단순한 작업이지만, 로봇에게는 어려운 일들이 많다”고 ... ...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26기의 무덤에서 인간과 개가 같이 묻힌 채 발견되었어요. 개의 유골만 따로 묻혀있는 구역도 있었지요. 묻힌 개들 중 5마리에는 뼈가 부러진 뒤 치료된 흔적도 있었고요. 이 개들이 정성껏 보살핌을 받았다고 볼 수 있어요. 개의 공동묘지는 한반도에서 한 번도 확인된 적 없는 사례였어요. 우선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방해하기라도 할까, 목소리를 낮춰 말했다. 관찰관은 4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각 구역에는 여우 2~4마리가 여유롭게 지내고 있었다. 하품을 하거나 졸고 있는 녀석들 중 몇몇은 기자가 나타나자 흥미로운 듯 관심을 보였다. 이번에 청주 도심에서 구조된 여우는 관찰관에서 조금 떨어진 ... ...
- 미사일·어뢰·드론 3대 위협 청해부대 호르무즈해협 파병 안전진단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모두 회전식 레이더다. 360도 모든 방향을 탐지하기 위해 회전하는 동안 감시하지 못하는 구역이 발생하고 표적의 추적 능력이 떨어진다. 이와 다르게 영국과 일본이 각각 호르무즈해협에 파병한 HMS디펜더함(D36)과 다카나미함(DD-110)은 위상배열레이더가 탑재됐다. 위상배열레이더는 안테나를 ... ...
- [핵배송 비결3] 최고의 배송 경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시간 제약이 있다는 겁니다. 마지막은 배송 담당자가 한 구역씩 맡아 배송해야 하는데, 구역을 어떻게 나누냐에 따라 최적 배송경로가 바뀌기 때문입니다.물건을 팔지 않고 배달만 맡아 하는 배달 대행업체의 경우에는 더 어렵습니다. 주문이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데다, 배송지에 가기 전 배달할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개 구역 중 한 곳을 촬영하고, 카메라 각도를 조정해 다음 구역을 촬영하고, 다시 그 다음 구역을 촬영하는 식이다. 이때 카메라가 고개를 틀며 위성에 진동이 생긴다. 굉장히 작은 진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고도의 정밀도가 필요한 관측용 위성에서는 큰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최 단장은 ... ...
- [매스크래프트]#2. 태국의 수상가옥에서 한붓그리기가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강이 있었습니다. 이 강은 그림➋처럼 도시를 4개의 구역으로 나눴고, 7개의 다리가 이 구역들을 연결했습니다. 다리를 산책하던 사람들은 이런 궁금증이 생겼죠.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지나 모든 다리를 건널 수 있을까?’ 당시 수학에 자신 있다는 많은 사람이 도전했지만, 이 문제는 풀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