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리스"(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노벨생리의학상, ‘당연한 감각’ 이면의 비밀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억제한 세포가 물리적 자극에도 전기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스어로 압력이라는 뜻을 가진 피에조1이 발견된 순간이다. 연이어 척추동물에서 피에조1과 유사한 피에조2 유전자도 발견됐다.2010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피에조1과 피에조2를 발표한 뒤, 파타푸티언 ... ...
- [특집] 수학의 신이 꼽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나만의 생각 아니냐고? 에이, 그게 무슨 섭섭한 소리! 수학의 신으로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였던 피타고라스도 나를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숫자로 꼽았어. 그 이유를 들어볼래? 피타고라스는 세상의 모든 것이 숫자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했어. 그는 숫자에 의미를 부여했는데 ... ...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고대 그리스 시대에 활동하던 피타고라스 학파는 숫자 1, 2, 3, 4의 합인 ‘10’을 성스럽고 완전한 수로 여겼다. 이 신비로운 ‘10(텐)’과 밀접하게 맞닿은 마블의 새 히어로 ‘샹치’와 새로운 무기 ‘텐 링즈’가 모습을 드러냈다. 이번 영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속엔 대체 어떤 수학 ... ...
- [이달의 우주 날씨] 가을철 별자리와 이웃 은하 이야기!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북쪽 밤하늘에서는 페가수스자리를 볼 수 있어요. 페가수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로 날개 달린 말의 모습을 하고 있죠. 페가수스의 몸통은 네 개의 별로 이뤄져 있는데, 이를 가을철 대사각형이라고 불러요. 가을철 대사각형의 주변에는 신화 속 최고 신인 제우스의 아들이면서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읽어내려가면서 테스트하는데 그리스 문자는 읽을 수가 없기에 테스트도 불가능했죠. 그리스 출신 교수님과 동기의 도움으로 끝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읽힌다’는 평을 받았죠. 작은 한걸음을 뗀 기분이었어요.”그는 가장 좋아하는 글꼴로 이용제 디자이너의 ‘꽃길체’를 꼽았다. 가로쓰기가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란 이름을 붙였습니다. ‘훔치다’란 뜻의 그리스어 ‘klepto’와 머리카락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trich’를 합성한 말로, ‘털 훔치기’란 뜻입니다. 개나 고양이 같은 천적의 털을 뜯어갈 결심을 한 원인 중 하나는 새끼가 더 따뜻하게 지낼 집을 짓기 위해서입니다. 폴록 연구원은 “다양한 종의 ... ...
- [가상인터뷰] 수학계의 베토벤 레온하르트 오일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어 편리해요. 3.141592로 시작하는 원주율(82쪽 참고!)도 제가 쉽게 그리스 문자 π로 표기했어요. 이 방법이 널리 퍼져 지금은 죄다 원주율을 π로 쓴답니다.여러분이 곧 읽을 중학교,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많은 기호는 제가 만들었거나 자리 잡게 한 거예요. 독일 공주에게 20 ...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맞춰 선사시대의 생물과 풍경을 재현한 예술을 지칭한다(접두어 ‘팔레오(paleo)’는 그리스어로 ‘옛날’을 뜻한다). 존재하는 모든 미술 장르를 통틀어 팔레오아트 만큼 과학과 불가분한 분야는 없을 것이다. 화가는 정확한 복원을 위해 과학자의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고, 과학자는 자신의 연구를 ...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세력의 침입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다. 아프간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국가들은 물론 그리스 마케도니아, 몽골제국, 영국, 냉전 시기의 소련 등이 침공했으나 모두 아프간에 패했다. 아프간에는 제국주의의 무덤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군사력이 월등히 부족한 국가에서 이들이 강대국의 침공을 막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수학의 특수한 쓸모, 즉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수학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그리스인들은 특정 목적을 가지고 수학을 바라보지 않았습니다. 수학 이론 그 자체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바로 수학의 보편적인 쓸모에 집중한 겁니다. 최 교수는 “보편적인 쓸모에 집중하면 입시 중심의 수학교육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