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5년 후, 과학은] 미래를 위한 오래된 신소재 강유전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있는 FeFET는 이러한 응용 기술 분야의 유망한 미래 소자입니다. FeFET는 반도체의 가장 기본적인 소자인 트랜지스터 소자와 구조가 동일한데, 트랜지스터 고유의 스위치 기능에 더해 강유전체로 인한 메모리 기능까지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트랜지스터 겸 메모리로서 PIM 기술에 사용하기 적합하죠.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또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 연구자의 역할이라 생각했다. 기본적으로 표본실은 제대로 관리만 된다면 곰팡이가 살기 좋은 환경이 아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표본실에서는 발견할 수 없지만 언젠가의 사태를 대비해 주의해야 하는 곰팡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전세계에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마친 충만감을 곱씹는데, 안내견을 앞세운 채 흰 지팡이를 짚고 다가오는 여성이 보인다. 기본 신체정보가 송주하와 일치한다. 요즘은 장애보조기기가 생활가전만큼 흔해서 안내견과 흰 지팡이가 눈길을 끈다. 내 옆에 마련된 의자에 앉더니 안내견 하네스와 지팡이를 직원에게 건네고, 운동화 끈을 ...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마방진을 푸는 주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마방진은 ‘3방진’, 가로와 세로가 4칸이면 ‘4방진’이라고 부르지요. 그중 가장 기본이 되는 마방진은 1부터 9까지의 수가 반복되지 않게 배열된 3방진이에요. 3방진을 만드는 마법의 비밀은 자연수의 합에 있어요. 1부터 9까지의 합은 1+2+3+4+5+6+7+8+9를 앞에서부터 차례로 계산해 구할 수도 있지만,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박사 논문에서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의 해는 언제나 복소수라는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증명해냄에 따라 허수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지요. 이후 가우스 평면이라고도 부르는 ‘복소평면’이 등장해요. 복소평면은 좌표평면의 x축에는 모든 실수를, y축에는 이 실수에 i를 곱한 ... ...
- [과학사] 1834년 2월 8일 주기율표 발견한 멘델레예프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산소, 탄소 등의 원소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이에요.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진 원소의 종류는 118개죠. 이렇게 많은 원소들을 한눈에 찾아볼 수 있게 분류해 놓은 표가 있습니다. 바로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멘델레예프가 만든 ‘주기율표’예요. ‘주기’는 되풀이되는 성질을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월드에서 영상 찍어봤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아바타를 여유롭게 걷게 만드는 거예요. 6세로 모드로, 인물은 아래에서! 월드는 기본적으로 가로 모드로 설정돼 있지만, 세로로 설정을 바꿀 수도 있어요. 초보자라면 배경이 넓게 찍혀서 여백이 많아지는 가로 모드보다 세로 모드로 촬영하는 것을 추천해요. 세로로 찍으면서 인물을 화면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배아(배)를 만든다는 뜻입니다. 생물 종마다 구체적인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낭배 형성은 특정 부분의 세포가 주변 세포 움직임에 밀려 배아의 빈 공간 안으로 빠져 들어가(함입), 배아의 겉과 속의 층이 나뉘는 과정입니다. 속으로 말려 들어간 세포들(내배엽・endoderm)은 소화기관과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뜻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심프 입자들이 충돌하기 위한 핵심 조건 심프 패러다임의 기본은 윔프와 동일합니다. 우주 초기에 많은 양의 심프가 있고, 서로 반응함으로써 그 양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두 개의 윔프가 쌍소멸하는 과정을 거쳐 그 수가 줄어드는 윔프 메커니즘과 달리, 심프 ... ...
- [뉴스&인터뷰] “글과의 거리두기, 드디어 끝났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생각할 수 있지만 한계가 있어요. 할머니는 우리 아이들에 대한 정보는 물론 애정을 기본적으로 탑재한 존재거든요. 또 기꺼이 응답하시구요. 저 자신이 오늘날의 ‘할머니’를 만드는 데 일조했다는 생각을 계속 하며 살고 있습니다. Q. 디스토피아물이라고 얘기했는데, 소설 속 모습이 낯설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