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일"(으)로 총 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성남(17.8km), 분당-용인(68km) 등 5개의 양자채널을 연결해 양자암호통신을 시험하고 있다.단일광자를 이용한 유선양자암호통신은 2005년 미국 스탠퍼드대와 일본의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전송실험에 성공했으며, 최근 유럽에서는 143km 떨어진 곳에서 무선방식으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 ...
- [과학뉴스] 국산 기술로 초미세먼지 구성성분 알아낸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알아내는 장비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박기홍 GIST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은 단일 입자의 화학적 성분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에어로졸 질량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5월 3일 밝혔다.에어로졸 질량분석 시스템은 레이저로 초미세먼지를 맞춰 이온화시킨 뒤, 이온을 질량분석기로 검출하는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m(m은 입자의 질량)이다. 그런데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기체(크롬, 에르븀, 디스프로슘 등. 단일 원소로서는 가장 큰 자기 쌍극자 모멘트를 가진 원소들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로 만드는 데 성공한 원소들이다)로 만든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다르다. 운동량이 높을 때 한 순간 에너지가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꿔 다른 클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위 그림). 이렇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에 단일클론만 떼어 내면 전이능력도 부족하고, 혼자 살아남기도 힘들다.종양내이질성, 왜 생기는 걸까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병리학 진단검사의학과의 피터 노웰 교수는 1976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doi:10.1038/s41534- 017-0010-x). 연구팀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위조가 불가능하지만 현실세계의 단일 광자가 다른 광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분실’될 수 있어 은행은 불완전한 양자지폐를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사기꾼이 완벽하지 않지만 특정 기준을 넘어서는 정확도의 위조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는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필자가 주목한 것은 마이크로RNA(miRNA)다. miRNA는 약 22개의 리보핵산으로 구성된 작은 단일가닥 RNA분자다. miRNA는 전령RNA(mRNA)의 말단에 결합해, mRNA가 단백질을 만드는 것을 방해한다. 22개 정도의 짧은 가닥이기 때문에 miRNA는 일종의 ‘범용 조절자’로 작동할 수 있다. 즉, 하나로 여러 유전자의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개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입자를 주입했다. 이 입자는 적외선 파장을 내뿜는데, 질화방향족과 결합하면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감지할 수 있다.질화방향족이 포함된 지하수가 해당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가볍다. 전기식 이온엔진의 연비는 화학연료엔진의 10배 정도다. 일반 화학엔진에 비해 단일 추진력은 매우 약하지만 연료량에 따라 수개월에서 수 년까지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점점 누적돼 더 빨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화학연료식 추진으로 하면 달까지 가는 데 200kg 이상의 연료로 2~3일이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차이가 난다.연구자들은 지난 2세기 동안 수집된 747마리의 적색야계 표본에서 280만 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이 형성된 것을 확인했다. 이경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농업연구사는 “(당시 연구는) 완성된 닭 유전체 지도를 바탕으로 여러 가축화된 종간의 염기서열 차이를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건축비 대부분을 연구소에서 개발한 ‘단일클론항체’ 기술의 특허료로 충당했다. 단일클론항체 기술은 어떤 항원을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항체를 대량생산하는 기술이다.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때, 세포 내 특정 물질의 위치를 확인할 때 등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이를 개발한 체자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