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d라이브러리
"
대전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몇 달째 자리잡고 있다. 수리를 위해 독일에서 건너온 작품이었다. 인터뷰 며칠 전에는
대전
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프랙털 거북선’을 수리하기 위해 출장을 다녀왔다고 한다. 발열이 많아 화재 위험이 있는 작품에 설치할 온도 감지기가 작업대 위에 놓여 있었다. 2006년 백남준 작가가 ... ...
[진실 혹은 거짓] 우리가 수학만 좋아한다고? 수학자는 평화를 사랑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러셀은 교수로 일하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갑자기 해고당했어. 그가 제1차 세계
대전
에 반대했기 때문이야. 하지만 러셀은 평화를 향한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어. 1955년에는 절친한 친구인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핵무기를 폐기하고 과학 기술을 평화를 지키는 데 쓰자는 ‘러셀-아인슈타인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일은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전남 고흥에 있어요. (신혼이시라고 들었는데….) 출장 마치고
대전
집으로 돌아가는 금요일이 엄청 기다려지죠. 과동 : 누리호 발사가 원래는 올해 2월이었는데 한 차례 늦춰져서 10월이 됐죠. 발사가 자꾸 늦춰지는 이유가 뭔가요? 장환 : 시험을 실패하면 기체나 설비에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우연은 아닐 겁니다.그러나 시에르핀스키의 일생에 수학만 있던 것은 아닙니다. 1차 세계
대전
이후 일어난 폴란드-소련 전쟁에서 시에르핀스키는 폴란드 육군 암호국 소속으로 소련군의 무선 암호통신을 해독하는 일을 했습니다. 전쟁 기간 그는 동료 수학자들과 약 100여 개의 소련군 암호를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편집자 주디라이브러리에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제인터뷰 한국어 번역본을 함께 게재합니다.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 깨끗하고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월 5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에서 만난 이먼 라히미페트루디 UST 학생연구원에게서는 고독한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3월 14일 15시 9분 2초.’ 혹시 ‘파이데이(π-day)’를 알고 있나요? ‘3.141592…’로 무한하게 이어지는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6번째 자릿수까지의 숫자들을 의미하는 날짜와 시 ... 스미스 ‘수학사 가볍게 읽기’, 권현직 ‘조충지가 들려주는 원 1 이야기’, 김용운 ‘수학사
대전
’ ... ...
앨런 튜링의 일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자전거를 타고 움직일 때 방독면을 써야 했다. 방독면을 써서 그런지 문득 제 2차 세계
대전
이 한창이던 1939년이 떠올랐다. 그때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 있는 정부 암호학교에 영국 최고의 수학자와 암호학자들이 모였다. 독일 암호체계인 ‘에니그마’를 해독하기 위해서다.난 암호해독반 수학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실체가 있는 것이나, 하다못해 수식으로라도 존재하는 것을 다뤘다. 하지만 1월 6일
대전
KAIST 캠퍼스에서 만난 김한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연구원의 대답 속 ‘창의성’은 전자와 후자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주제로 보였다.연구실을 이끄는 박주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이 같은 기자의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유해나 그 일부가 유리처럼 변하는 일은 매우 드물어요. 이같은 사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에 의해 뜨거운 불길에 휩싸여 목숨을 잃었던 피해자의 유해에서 유리 물질이 발견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죠.연구에 참여한 로마제3대학교 귀도 조르다노 교수는 “고대 인류의 뇌가 이렇게 완벽하게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교수“제가 하는 일은 대중화가 아닌 소통이라는 말이 더 어울립니다.” 1월 7일
대전
자택에서 만난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기자가 건넨 첫 질문인 ‘왜 과학 대중화 활동을 하는가’에 대해 “과학은 누구에게나 어렵지만, 과학을 쉽게 설명하는 게 내 목표는 아니다”라며 이렇게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