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레이저"(으)로 총 1,34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의뢰했습니다.이제 이들 부품을 담을 거대한 틀을 설계할 차례입니다. 틀은 저렴하고, 레이저 절단기로 쉽게 자를 수 있으며, 가볍기까지 한, 메이커의 필수 도구, 중밀도 섬유판(MDF)을 이용할 겁니다.단, 이번엔 특별한 구조로 만들 건데요. 작품의 전체 규모가 크기 때문에 무게를 더욱 가볍게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① 돛을 장착한 초경량 나노 우주탐사선 수천 개를 우주에 띄운다.② 달이나 지구에 레이저 송신 기지를 설치한 후 그 돛을 향해 광선을 쏜다. 우주탐사선은 송신기지에서 발사된 빛을 반사하면서 앞으로 나아가요. 배드민턴 공이 채에 부딪혀 튕겨 나가면 채는 공이 오던 방향으로 밀리듯이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광센서로 당뇨병 감시자발광 퀀텀닷이 개발되면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광센서, 레이저, 위조 방지 등 여러 분야에서도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대표적으로 광센서의 경우 매우 얇게 만들어 웨어러블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가령 당뇨병 환자의 약 4분의 1은 합병증으로 혈액순환 장애를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실을 확인했거든. 연구팀은 나비 50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 나비의 날개 한쪽에 레이저를 비춰서 열을 가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적외선 촬영으로 비교해 봤지. 그 결과 날개에 닿은 열이 40℃를 넘어가면 날개를 강하게 퍼덕였어. 연구팀은 이 퍼덕임으로 열을 식히는 것이라고 ... ...
- [비하인드로켓] 개발모델, 인증모델, 비행모델, 나로호 2단의 쌍둥이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라디오미터와 위성의 정확한 궤도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반사경이 탑재된 우주과학실험용 위성이다. 하지만 과학기술위성 2A, 2B호는 아쉽게도 모두 목표 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다(자세한 내용은 추후 나로호 발사 결과와 함께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레이저의 진동수입니다. x축을 시간, y축을 진동수로 두면 시간에 따라 측정되는 레이저의 진동수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죠. 중력파가 발생하면 그래프의 모양이 변하기 때문에 그 변화를 분석해서 어떤 이유로 중력파가 발생했는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시민 천문학자의 역할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이 장애물을 피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지도 정보로 저장하기도 해요. 로봇 청소기 위에 달린 카메라로 집안 곳곳을 촬영하거나, 레이저를 쏘아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LIDAR)로 공간의 모양을 파악해 데이터로 저장하는 거예요. 그뒤 로봇 청소기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애물을 피하면서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움직이는 방법을 ...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나오는 거의 모든 과학실험을 직접 해볼 수 있는 학교였다. 당시에는 쉽게 하지 못했던 레이저를 활용한 빛의 간섭 실험까지 경험할 수 있었다. 그렇게 과학 꿈나무의 시절을 보낸 나는 고려대 의대로 진학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다분히 충동적인 결정이었다. 요즘도 의사 중에서 의과학을 공부하며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개발한 ‘광학 집게’는 대표적인 생물물리학 연구 성과로 꼽힌다. 광학 집게는 레이저 빛으로 원자나 살아 있는 세포 같은 매우 작은 물체를 붙잡을 수 있는 기술로, 애슈킨 연구원은 이 공로로 201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광학 집게는 세포나 박테리아만큼 매우 작은 물질을 집어낼 수 있어 ... ...
- 가장 과학적인 게 가장 예술적이다, 미술작품 속 숨겨진 빛의 과학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근무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며,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초고속 광학과 테라헤르츠 광학 분야 연구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가 있다. mseo@kist.re.kr 용어정리*병치혼합 : 각기 다른 색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해 착시로 인해 색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