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우주선을 타고 날아서 슝~!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버리면 어떡하지?! 소행성과 몸통 박치기!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해 11월 다트(DART)라는 이름의 우주선을 발사했어요. 다트의 임무는 지구로부터 약 1100만km 떨어져 있는 천체 ‘디모포스’와 ‘몸통 박치기’ 하기!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서, 움직이는 방향을 바꾸는 게 가능한지 알아보기 ... ...
[놀이북] 외계인에게 띄우는 편지, 골든레코드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하고 싶나요? 어떻게 대화할 수 있을까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우주를 탐사하는 동시에 외계인에게 우리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여러 탐사선을 띄웠어요. 1972년과 1973년에 각각 발사된 무인탐사선 ‘파이어니어 10호’와 ‘파이어니어 11호’에는 인류 문명을 여러 그림으로 새긴 금속판이 ... ...
[시사과학] 해저 화산폭발! 남태평양 통가에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폭발음이 들렸을 정도로 격렬했어요.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은 이번 폭발의 위력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자폭탄의 500배 이상으로 추측했지요. 학계에서는 이와 같은 폭발이 1000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위력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어떤 피해가 있었을까 ... ...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인류는 다시 달에 가기로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무인 탐사선 아르테미스 1호가 달로 떠난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4~5월 중 아르테미스 1호를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 발사단지 39B(LC-39B)에서 발사할 계획이라고 2월 2일 밝혔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미국
주도 국제 프로젝트로 총 두 단계의 임무로 구성돼 있다. 2025년까지 여성과 ... ...
[특집] 우주로 향하는 거대 거울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에요. 이 망원경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유럽
우주국
(ESA), 캐나다
우주국
(CSA)이 함께 만들었어요. 적외선을 관측해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고 외계 행성을 관찰하는 임무를 맡았지요. 지난 12월 25일 우주로 쏘아 올려졌어요. 망원경은 거울로 빛을 모아 어두운 우주를 ... ...
[과학뉴스] 창어 5호, 달 표면 물 처음으로 ‘현장포착’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달 표면에 물이 있다는 정황 증거는 1973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달 표면에서 수증기를 관측했다는 발표 이후, 지속해서 제시돼 왔다. 그러나 현장에서 바로 측정해 분석한 데이터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린훙레이 중국과학원 지질및지구물리학연구소 교수팀은 창어 5호가 달 표면의 흙과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꾼 에릭 왕자를 구해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넓히기우주인의 눈을 지킨다! 우주 침낭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중력이 거의 없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최소 6개월 머문 우주비행사의 절반 이상은 시력 문제(SANS)●를 겪는다고 발표했어요. 일부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시력인 원시가 나타나죠. 그 이유는 누워 있는 동안 ... ...
[과학동아 키즈] 밤을 밝히는 전등이 모두를 공평히 비추길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꿈을 이야기하던 친구였다. 당시 라케스의 꿈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근무하는 우주 공학자였다. 하지만 유학은커녕 공부를 이어가기에도 집안 사정이 넉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후 꿈을 이루기 위해 장학금을 받고 스위스 유학길에 올랐다고 했다. 박사학위를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걱정해야 하는 순간이 온 것이다. 1978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도널드 케슬러 연구원은 지구 궤도상의 우주 쓰레기 규모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이들이 서로 충돌하고 그 때 발생한 파편이 다시 충돌 연쇄반응을 일으키며 파편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주개발이 어려워지는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여러 면에서 다르다. 아폴로 프로그램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독자적으로 진행했지만,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국제 파트너 및 민간 우주기업과의 협력으로 진행된다. 한국을 비롯한 10개국 이상이 약정에 서명했으며,
미국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 등이 일찍이 민간 협력 우주기업으로 참여하고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