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근소
조금
마이크
미소한
초미니
d라이브러리
"
미량
"(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장개업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무방하다고 생각하지만 과량의 비타민C는 구토, 복통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량
무기질 중에서 주의할 것은 요오드다. 요오드의 상한섭취량은 하루 3mg이며 미국(하루 1.1mg)보다 훨씬 높다. 다시마, 김, 미역 등 해조류와 멸치, 굴 등에 풍부하며 가공식품 첨가제로 쓰이는 요오드염도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행동, 그리고 교미 중 행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동물 특히 곤충이 체외로 분비하는
미량
의 물질 동료에게 성적 유인을 포함한 어떤 행동을 일으키게 한다 예를 들어 개미가 동료에게 먹이가 있는 곳이나 위험한 곳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또한 후각이 발달한 표유류에게는 텃세권을 알리는 표지가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하지만 아르곤은 질소, 산소 다음으로 공기에 많은 성분임에도 불구하고 1% 남짓한
미량
에다 반응성도 적어 18세기 말까지 주목받지 못했다.그러던 중 1783년 영국의 헨리 캐번디시는 공기와 산소를 섞어 마찰전기로 스파크를 일으키면 공기가 사라지고 질산이 생긴다는 것을 알아냈다. 수차례 이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85% 이상이 이들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백만분율을 뜻한다 즉 1ppm=${10}^{-4}$%이다
미량
의 기체를 분석하거나 검출한계를 수적으로 표현할 때 흔히 쓰인다단순히 집단을 이뤄 사는 일반적인 사회성 곤충과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이들은 자기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집단 생활을 유지한다 개미나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차세대 나노바이오기술의 핵심이다. “강한 자석을 쓰면 펨토몰(1fM=10-15M)의 극
미량
분자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 기술을 기반으로 ‘칩 위의 실험실’을 개발할 겁니다.”‘칩 위의 실험실’이란 손톱만한 칩 하나로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연구를 대체하도록 만든 장치다. 이를 구현하기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렇다면 아미노산 음료는 전혀 효과가 없을까. 손숙미 교수는 “설탕 같은 당분 외에
미량
이나마 단백질이 들어있는 것은 장점”이라면서도 “그 양이 너무 작아 거의 0%에 가깝다”고 말한다. 기능성 음료라고 하지만 사실은 맹물과 마찬가지인 셈. 손 교수는 “단백질 양만 따지면 차라리 계란 한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변연계가 관여하기 때문이다.나비가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암컷이 체외로 방출한 극
미량
의 페로몬을 감지해 10km 떨어진 곳에서도 정확히 암컷에게로 날아갈 수 있다. 개나 사슴 등 포유동물의 대부분도 짝짓기를 하기 전에 상대 생식기의 냄새를 맡고 성적자극을 받는다. 그렇다면 사람에게도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기압 이하에서 물에
미량
의 유기분자(테트라하이드로퓨란)를 첨가한 뒤 물을 냉각했다. 이때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내부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공간에 수소가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현상을 발견했다.이 교수는 “저장된 수소의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최고급의 전력용 실리콘 반도체를 만든다. 고순도의 실리콘 단결정에 중성자를 쪼이면 극
미량
의 실리콘(Si)이 인(P)으로 바뀐다. 결과적으로 부도체가 반도체로 바뀐 격이다. 이를 얇게 썰어 웨이퍼로 만들면 자기부상열차와 연료전지차에 들어가는 최고급 반도체가 된다. 연구팀은 이미 KTX에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전자제품 속에 들어있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낮은 농도로 말이죠. 따라서 극
미량
의 난연제 성분이라도 검출해낼 수 있도록 더 정확한 기술이 개발돼야 합니다.”김 박사는 이렇게 강조한다. 전자제품 관련 업체들과 환경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공동 대책이 시급하다.최근 세계의 눈이 우리나라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